집합의 분류
유한, 무한집합
동등
두 집합 에 대하여 전단사함수 가 존재하면 는 동등이다. ( 또는 )
유한, 무한집합
집합 의 적당한 진부분집합 가 와 동등하면 는 무한집합이다.
무한집합이 아닌 집합을 유한집합이라 한다.
ex) 은 무한집합이다.
여러가지 정리
•
공집합 은 유한집합이다.
•
무한집합을 포함하는 집합은 무한이다.
•
유한집합의 모든 부분집합은 유한이다.
•
전단사함수 에 대하여
◦
가 무한집합이면 도 무한집합이고
◦
가 유한집합이면 도 유한집합이다.
•
무한집합 의 부분집합 가 유한이면 는 무한집합이다.
가부번, 비가부번 집합
가부번집합
집합 가 일 때 를 가부번집합이라 한다.
•
가부번집합은 번호를 붙일 수 있는 집합을 의미함.
◦
자연수 집합은 번호를 붙일 수 있으므로 가부번 집합이다. --1 다음은 2 그 다음 3이므로
◦
실수 집합은 번호를 붙일 수 없으므로 비가부번 집합이 된다. --1 다음 수를 어떤 것으로 정의할 수가 없음.
가산집합
유한집합이나 가부번집합을 가산집합이라 한다.
여러가지 정리
•
가산집합의 부분집합은 가산집합이다.
•
가부번집합들의 합집합은 가부번이다.
•
은 가부번집합이다.
•
은 가부번집합이다.
◦
가부번 집합을 합하거나 곱해도 가부번 집합이다. --지수로 올리면 얘기가 달라짐.
•
의 부분집합 은 비가부번이다.
•
모든 무리수의 집합은 비가부번집합이다.
◦
비가부번 집합인 실수 집합은 유리수와 무리수 집합의 합집합인데, 유리수 집합은 가부번 집합이므로 무리수 집합이 비가부번 집합이어야 한다.
•
은 비가부번집합이다. (복소수 집합)
기수
기수의 개념
기수
집합의 크기를 나타내는 수. 또는
•
각 집합 에 대해 는 유일하다.
•
에 해당하는 집합 는 항상 있다.
•
•
이면
•
•
(배열의 길이라고 생각하면 편하다)
유한기수, 초한기수
유한기수는 유한집합의 기수이고, 초한기수는 무한집합의 기수
•
대표적인 초한기수
◦
가부번집합의 기수 (알레프 제로라고 읽음)
◦
연속체의 기수 (시그마라고 읽음)
#A < #B
는 의 한 부분집합과 동등이고, 는 의 어떠한 부분집합과도 동등이지 않다.
•
•
가 의 부분집합과 동등이고, 도 의 부분집합과 동등이면 와 는 동등이다. () - 칸토어-번슈타인 정리
•
이고 이면 이다.
기수의 연산
기수 합
서로소인 두 집합 의 기수를 각각 라고할 때,
기수 곱
집합 의 기수를 각각 라고할 때,
연산 법칙
임의의 기수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
교환법칙
◦
◦
•
결합법칙
◦
◦
•
분배법칙
◦
•
(기수 자체는 숫자인데, 기수의 연산은 그 숫자의 값이 위의 결과를 만족한다고 보는게 아니라, 그 기수가 대응되는 집합과의 관계가 위 조건을 만족한다는 의미)
여러가지 정리
•
•
•
•
•
•
기수의 지수
집합 에 대하여 일 때
•
◦
A에서 B로 가는 함수를 끌어 모은 집합. 지수에서 밑으로 가는 모습
◦
ex) 일 때, 의 총 개수
▪
•
•
일 때,
여러가지 정리
•
집합 에 대하여 일 때
◦
ex) 일 때
▪
▪
•
기수 에 대하여
◦
◦
◦
•
◦
끼리의 합이나 곱은 여전히 지만, 지수로 올리면 가 된다.
◦
에 를 지수로 올려도 가 된다.
•
◦
는 실수집합의 멱집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