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Duplicate

이상엽/ 해석학/ 미분

미분계수

미분계수의 정의

Def 1. [평균변화율]
함수 f:[a,b]Rf : [a, b] \to \mathbb{R} 에 대하여
ΔyΔx=f(b)f(a)ba=f(a+Δx)f(a)Δx{\Delta y \over \Delta x} = {f(b) - f(a) \over b - a} = {f(a + \Delta x) - f(a) \over \Delta x}
aa에서 bb로 변할 때의 함수 y=f(x)y = f(x)의 평균 변화율이라 한다.
Def 2. [미분계수와 미분가능]
함수 f:(a,b)Rf : (a, b) \to \mathbb{R}c(a,b)c \in (a, b)에 대해
f(c)=limΔx0ΔyΔx=limxcf(x)f(c)xc=limΔx0f(c+Δx)f(c)Δxf'(c) = \lim_{\Delta x \to 0} {\Delta y \over \Delta x} \\ = \lim_{x \to c} {f(x) - f(c) \over x - c} \\ = \lim_{\Delta x \to 0} {f(c + \Delta x) - f(c) \over \Delta x}
x=cx = c 에서의 함수 y=f(x)y = f(x) 의 미분계수라 하며, 미분계수가 존재하면 ffx=cx = c 에서 미분가능하다고 한다.
미분계수란 순간변화율
순간의 변화율을 보기 위해 극한을 이용한다.
순간변화율은 접선의 기울기와 동일하다는 것은 그래프로 표현 가능할 때 가능한 표현이지만, 실제 수학에서는 그래프로 표현 불가능한 부분이 있고, 그런 부분에서도 미분이 가능한 경우가 존재하기 때문에 엄밀히 말해서 미분계수를 접선의 기울기라고 보기는 어렵다.
Def 3. [우미분계수와 좌미분계수]
함수 f:[a,b)Rf : [a, b) \to \mathbb{R} 에 대하여 ffx=ax = a에서의 우미분계수
f+(a)=limΔx0+f(a+Δx)f(a)Δxf'+(a) = \lim_{\Delta x \to 0+} {f(a + \Delta x) - f(a) \over \Delta x}
가 존재하면 ffx=ax = a에서 우미분가능하다고 한다.
함수 f:(a,b]Rf : (a, b] \to \mathbb{R} 에 대하여 ffx=bx = b에서의 우미분계수
f(b)=limΔx0f(b+Δx)f(b)Δxf'-(b) = \lim_{\Delta x \to 0-} {f(b + \Delta x) - f(b) \over \Delta x}
가 존재하면 ffx=bx = b에서 좌미분가능하다고 한다.
Def 4. [미분가능함수]
함수 f:(a,b)Rf : (a, b) \to \mathbb{R}(a,b)(a, b) 의 모든 점에서 미분가능하면 ff(a,b)(a, b)에서 미분가능 함수라고 한다.
함수 f:[a,b]Rf : [a, b] \to \mathbb{R} 가 다음 조건들을 만족하면 ff[a,b][a, b] 에서의 미분가능 함수라고 한다.
ff(a,b)(a, b) 에서의 미분가능함수이다.
ffx=ax = a 에서 우미분가능하다
ffx=bx = b에서 좌미분가능하다.

미분계수의 연산

f,g:DRf, g : D \to \mathbb{R}aDa \in D 에서 미분가능하면 f+g,fg,fg,fg(g0)f + g, f - g, fg, {f \over g} (g \neq 0) 도 미분가능하고 다음이 성립한다.
1.
(f+g)(a)=f(a)+g(a)(f + g)'(a) = f'(a) + g'(a)
2.
(fg)(a)=f(a)g(a)(f - g)'(a) = f'(a) - g'(a)
3.
(fg)(a)=f(a)g(a)+f(a)g(a)(fg)'(a) = f'(a)g(a) + f(a)g'(a) (곱의 미분법)
4.
(fg)(a)=f(a)g(a)f(a)g(a){g(a)}2({f \over g})'(a) = {f'(a)g(a) - f(a)g'(a) \over \{g(a)\}^{2}} (몫의 미분법)

주요 정리

Thm 1. [미분가능성과 연속성]
ff가  x=ax = a에서 미분가능하면  ffx=ax = a에서 연속이다. (불연속이면 미분 불가)
Thm 2. [극점과 미분계수]
f:DRf : D \to \mathbb{R} 일 때  ff가  DD의 내부점 x=ax = a에서 극값을 갖고 미분가능하면 f(a)=0f'(a) = 0 이다.
Thm 3. [연쇄법칙]
함수 ff가  x=ax = a에서 미분가능하고  gg가  f(a)f(a) 에서 미분가능하면 합성함수  gfg \circ fx=ax = a에서 미분가능하고 다음이 성립한다.
(gf)(a)=g(f(a))f(a)(g \circ f)'(a) = g'(f(a))f'(a)
Lemma. 함수 f:DRf : D \to \mathbb{R}x=a(D)x = a(\in D) 에서 미분가능하다
g,g(a)=f(a):xD,f(x)=f(a)+g(x)(xa)\Rightarrow \exists g, g(a) = f'(a) : \forall x \in D, f(x) = f(a) + g(x) (x - a)
ggx=ax = a 에서 연속

도함수

도함수의 정의

함수 f:DRf : D \to \mathbb{R} 가 임의의 점 xDx \in D에서 미분 가능할 때, 함수
f(x)=dfdx=limyxf(y)f(x)yxf'(x) = {df \over dx} = \lim_{y \to x} {f(y) - f(x) \over y - x}
를 함수 ff의 도함수라 한다.
f(x)f''(x) 는 이계도함수, f(x)f'''(x) 는 삼계 도함수 f(x)f''''(x)는 사계도함수... f(n)(x)f^{(n)}(x) 는 n계 도함수라고 한다.

여러 함수의 도함수

c=0(cR)c' = 0 (c \in \mathbb{R})
(xc)=cxc1(cR)(x^{c})' = c x^{c-1} (c \in \mathbb{R})
실수이므로 무리수에 대해서도 성립 (x2)=2x21(x^{\sqrt{2}})' = \sqrt{2} x^{\sqrt{2}-1}
복소수에 대해서는 복소해석학에서 봐야 함
(ax)=axlna,(ex)=ex(a^{x})' = a^{x} \ln a, (e^{x})' = e^{x} (lne=1\because \ln e = 1)
(logax)=1xlna,(lnx)=1x(\log_{a} x)' = {1 \over x \ln a}, (\ln x)' = {1 \over x} (lne=1\because \ln e = 1)
(sinx)=cosx,(cscx)=cscxcotx(\sin x)' = \cos x, (\csc x)' = -\csc x \cot x
(cosx)=sinx,(secx)=secxtanx(\cos x)' = - \sin x, (\sec x)' = \sec x \tan x
(tanx)=sec2x,(cotx)=csc2x(\tan x)' = \sec^{2} x, (\cot x)' = - \csc^{2} x
(xx)=xx(1+lnx)(x^{x})' = x^{x} (1 + \ln x)

평균값 정리

평균값 정리

평균값 정리란 평균변화율과 순간변화율의 관계에 대한 것
이 정리에서 파생되는 정리가 많기 때문에 대단히 중요한 정리다.
Thm 1. [롤의 정리]
f:[a,b]Rf : [a, b] \to \mathbb{R} 가  [a,b][a, b]에서 연속이고  (a,b)(a, b)에서 미분가능하다고 할 때, 다음 명제는 참이다.
f(a)=f(b)c(a,b):f(c)=0f(a) = f(b) \Rightarrow \exists c \in (a, b) : f'(c) = 0
연속이고 미분 가능한 함수의 어떤 구간을 잡을 때, 그 구간의 시작점과 끝점이 동일할 경우, 순간변화율이 0이 되는 점이 1개 이상 존재한다.
Thm 2. [평균값 정리]
f:[a,b]Rf : [a, b] \to \mathbb{R} 가  [a,b][a, b]에서 연속이고 (a,b)(a, b) 에서 미분가능하면 다음이 성립하는 cc가  (a,b)(a, b) 에 존재한다.
f(c)=f(b)f(a)baf'(c) = {f(b) - f(a) \over b - a}
평균값 정리는 롤의 정리의 일반화된 버전. 평균값 정리에서 시작점과 끝점의 값이 동일할 경우 롤의 정리가 된다.
연속이고 미분 가능한 함수의 어떤 구간을 잡을 때, 구간 내에 구간의 평균변화율과 동일한 순간변화율을 갖는 점이 1개 이상 존재한다.

코시 평균값 정리

코시의 평균값 정리는 평균값 정리를 확장한 버전
Thm 1. [코시 평균값 정리]
f,g:[a,b]Rf, g : [a, b] \to \mathbb{R}가  [a,b][a, b]에서 연속이고  (a,b)(a, b)에서 미분가능하면 다음이 성립하는 cc가  (a,b)(a, b)에 존재한다.
{f(b)f(a)}g(c)={g(b)g(a)}f(c)\{ f(b) - f(a) \} g'(c) = \{ g(b) - g(a) \} f'(c)
f(x)g(c)=g(x)f(c)\Rightarrow f(x)g'(c) = g(x)f'(c) (양변에 분모로 bab - a를 넣어줌)
f(x)g(x)=f(c)g(c)\Rightarrow {f(x) \over g(x)} = { f'(c) \over g'(c) }
두 함수의 도함수의 값을 갖게 해주는 상수가 존재한다.
위의 식에서 g(x)=xg(x) = x 인 경우가 평균값 정리가 된다. 다시 말해 평균값 정리는 코시 평균값 정리에서 g(x)=xg(x) = x 인 특수한 경우가 됨
Thm 2. [로피탈의 정리]
극한이 00,{0 \over 0}, {\infty \over \infty} 꼴을 가질 때 부정형이라고 하는데, 이러한 꼴을 쉽게 풀 수 있게 해주는 방법
로피탈 정리는 요한 베르누이의 수학 업적 중 하나인데, 이를 귀족이었던 로피탈이 당시 가난에 시달리던 베르누이의 일생의 모든 연구를 모두 사서 자신의 이름으로 발표한 것. 오일러가 바로 이 요한 베르누이의 제자
f,g:DRf, g : D \to \mathbb{R}가 다음을 만족한다.
1.
DD에서 연속함수이고 D{a}D - \{a\}에서 미분가능함수이다.
2.
다음 두 명제 중에 하나가 성립한다.
a.
limxaf(x)=limxag(x)=0\lim_{x \to a} f(x) = \lim_{x \to a} g(x) = 0
b.
limxaf(x)=limxag(x)=\lim_{x \to a} \|f(x)\| = \lim_{x \to a} \|g(x)\| = \infty
그러면  a,LR{,}a, L \in \mathbb{R} \cup \{ -\infty, \infty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limxaf(x)g(x)=Llimxaf(x)g(x)=L\lim_{x \to a} {f'(x) \over g'(x)} = L \Rightarrow \lim_{x \to a} { f(x) \over g(x) } = L
위와 같은 꼴일 때, 도함수의 극한과 원래 함수의 극한이 같다
도함수의 극한과 원래 함수의 극한이 같기 때문에, 로피탈 정리를 한 번 써서 해결이 안되면 한 번 더 써도 무방하다. 다시 말해 부정형에서 벗어날 때까지 계속 미분해서 값을 구한다. 바꿔 말하면 부정형이 아닌 상태(00,{0 \over 0}, {\infty \over \infty}이 아닌 형태)에서는 로피탈 정리를 써서는 안 된다. 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