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분계수
미분계수의 정의
Def 1. [평균변화율]
함수 에 대하여
를 에서 로 변할 때의 함수 의 평균 변화율이라 한다.
Def 2. [미분계수와 미분가능]
함수 와 에 대해
를 에서의 함수 의 미분계수라 하며, 미분계수가 존재하면 가 에서 미분가능하다고 한다.
•
미분계수란 순간변화율
•
순간의 변화율을 보기 위해 극한을 이용한다.
•
순간변화율은 접선의 기울기와 동일하다는 것은 그래프로 표현 가능할 때 가능한 표현이지만, 실제 수학에서는 그래프로 표현 불가능한 부분이 있고, 그런 부분에서도 미분이 가능한 경우가 존재하기 때문에 엄밀히 말해서 미분계수를 접선의 기울기라고 보기는 어렵다.
Def 3. [우미분계수와 좌미분계수]
•
함수 에 대하여 의 에서의 우미분계수
◦
◦
가 존재하면 는 에서 우미분가능하다고 한다.
•
함수 에 대하여 의 에서의 우미분계수
◦
◦
가 존재하면 는 에서 좌미분가능하다고 한다.
Def 4. [미분가능함수]
•
함수 가 의 모든 점에서 미분가능하면 를 에서 미분가능 함수라고 한다.
•
함수 가 다음 조건들을 만족하면 를 에서의 미분가능 함수라고 한다.
◦
는 에서의 미분가능함수이다.
◦
는 에서 우미분가능하다
◦
는 에서 좌미분가능하다.
미분계수의 연산
가 에서 미분가능하면 도 미분가능하고 다음이 성립한다.
1.
2.
3.
(곱의 미분법)
4.
(몫의 미분법)
주요 정리
Thm 1. [미분가능성과 연속성]
가 에서 미분가능하면 는 에서 연속이다. (불연속이면 미분 불가)
Thm 2. [극점과 미분계수]
일 때 가 의 내부점 에서 극값을 갖고 미분가능하면 이다.
Thm 3. [연쇄법칙]
함수 가 에서 미분가능하고 가 에서 미분가능하면 합성함수 는 에서 미분가능하고 다음이 성립한다.
Lemma. 함수 이 에서 미분가능하다
는 에서 연속
도함수
도함수의 정의
함수 가 임의의 점 에서 미분 가능할 때, 함수
를 함수 의 도함수라 한다.
•
는 이계도함수, 는 삼계 도함수 는 사계도함수... 는 n계 도함수라고 한다.
여러 함수의 도함수
•
•
◦
실수이므로 무리수에 대해서도 성립
◦
복소수에 대해서는 복소해석학에서 봐야 함
•
()
•
()
•
•
•
•
평균값 정리
평균값 정리
•
평균값 정리란 평균변화율과 순간변화율의 관계에 대한 것
•
이 정리에서 파생되는 정리가 많기 때문에 대단히 중요한 정리다.
Thm 1. [롤의 정리]
가 에서 연속이고 에서 미분가능하다고 할 때, 다음 명제는 참이다.
•
연속이고 미분 가능한 함수의 어떤 구간을 잡을 때, 그 구간의 시작점과 끝점이 동일할 경우, 순간변화율이 0이 되는 점이 1개 이상 존재한다.
Thm 2. [평균값 정리]
가 에서 연속이고 에서 미분가능하면 다음이 성립하는 가 에 존재한다.
•
평균값 정리는 롤의 정리의 일반화된 버전. 평균값 정리에서 시작점과 끝점의 값이 동일할 경우 롤의 정리가 된다.
•
연속이고 미분 가능한 함수의 어떤 구간을 잡을 때, 구간 내에 구간의 평균변화율과 동일한 순간변화율을 갖는 점이 1개 이상 존재한다.
코시 평균값 정리
•
코시의 평균값 정리는 평균값 정리를 확장한 버전
Thm 1. [코시 평균값 정리]
가 에서 연속이고 에서 미분가능하면 다음이 성립하는 가 에 존재한다.
(양변에 분모로 를 넣어줌)
•
두 함수의 도함수의 값을 갖게 해주는 상수가 존재한다.
•
위의 식에서 인 경우가 평균값 정리가 된다. 다시 말해 평균값 정리는 코시 평균값 정리에서 인 특수한 경우가 됨
Thm 2. [로피탈의 정리]
•
극한이 꼴을 가질 때 부정형이라고 하는데, 이러한 꼴을 쉽게 풀 수 있게 해주는 방법
•
로피탈 정리는 요한 베르누이의 수학 업적 중 하나인데, 이를 귀족이었던 로피탈이 당시 가난에 시달리던 베르누이의 일생의 모든 연구를 모두 사서 자신의 이름으로 발표한 것. 오일러가 바로 이 요한 베르누이의 제자
가 다음을 만족한다.
1.
에서 연속함수이고 에서 미분가능함수이다.
2.
다음 두 명제 중에 하나가 성립한다.
a.
b.
그러면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
위와 같은 꼴일 때, 도함수의 극한과 원래 함수의 극한이 같다
•
도함수의 극한과 원래 함수의 극한이 같기 때문에, 로피탈 정리를 한 번 써서 해결이 안되면 한 번 더 써도 무방하다. 다시 말해 부정형에서 벗어날 때까지 계속 미분해서 값을 구한다. 바꿔 말하면 부정형이 아닌 상태(이 아닌 형태)에서는 로피탈 정리를 써서는 안 된다. 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