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브 동영상인데 현재는 삭제되어서 내용만 남김)
1
개념
•
수식은 연산과 관계로 표현 됨.
◦
에서 ‘’는 연산 ‘’ 은 관계
•
관계와 함수는 순서쌍의 집합
•
관계 , 집합 에 대하여 관계식은 아래와 같이 쓴다.
◦
▪
◦
▪
두 집합 가 있고 어떤 에서 로 가는 어떤 관계 조건을 만족하는 순서쌍의 집합을 이라고 이해하면 된다.
▪
위 상황에서는 그 조건에 만족하는 순서쌍이 이라는 것.
•
관계를 로 표시하고 아래와 같은 집합에서 철수와 영희가 배우자 관계일 때 다음과 같이 한다.
◦
집합 = { 철수, 영희, 진수 }
◦
= { (철수, 영희), (영희, 철수) }
배우자
▪
위의 관계는 특히 대칭인 관계인데, (철수, 영희), (영희, 철수)가 존재하기 때문
▪
일반적인 관계 에서 와 가 성립하면 대칭인 관계라고 한다.
•
역관계
◦
어떤 관계 에 대하여 순서쌍을 거꾸로 쓴 집합. 역함수와 같다.
◦
에 대하여
•
정의역 (Domain)
◦
•
치역 (Image)
◦
•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정의역과 치역은 다음과 같다.
◦
▪
▪
▪
▪
•
동치관계
◦
아래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관계를 동치관계라 부른다.
◦
▪
(반사율)
▪
(대칭율)
▪
(추이율)
◦
닮음도 동치관계
•
동치류, 상집합(Quotient Set)
◦
일 때
▪
인 것을 동치류라고 한다.
▪
인 것을 상집합이라고 한다. (동치류를 모아 놓은 집합)
◦
다음과 같은 조건이 있다고 할 때
▪
•
는 11살
•
는 12살
•
는 13살
▪
와 는 동갑이다.
◦
동치류는 다음과 같다.
▪
▪
▪
▪
▪
▪
◦
상집합은 다음과 같다.
▪
관계식
•
◦
역관계의 정의역은 원래 관계의 치역과 같다.
•
◦
역관계의 치역은 원래 관계의 정의역과 같다.
•
◦
(반사율) 자기 자신이 동치이기 때문에, 동치인 집합이 공집합일 수는 없다.
•
◦
가 동치관계일 때 의 동치류와 의 동치류의 교집합은 공집합이 아니다.
•
◦
가 동치관계일 때 의 동치류와 의 동치류는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