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수
함수의 정의
•
함수: 다음을 만족하는 X에서 Y로의 관계
◦
▪
는 라고도 쓴다.
▪
s.t.는 such that의 약자. 그러한 것을 만족 시키는
◦
◦
ex) X = { 1, 2, 3 }, Y = { a, b, c } 일 때
▪
f1 = { (1, a), (1, b), (2, b), (3, c) }
•
f1은 함수가 아니다 (1, a), (1, b) 때문
▪
f2 = { (1, a), (2, b) }
•
f2는 함수가 아니다. X의 3에 대응되는 순서쌍이 없기 때문.
▪
f3 = { (1, a), (2, a), (3, b) }
•
f3는 함수다. Y의 c가 없지만 이것은 함수의 정의에 부합한다.
•
함수 에서 일 때 다음과 같이 부른다.
◦
y를 f에 의한 x의 상 (Image)
◦
x를 f에 의한 y의 원상 (Pre-Image)
◦
X를 f의 정의역 Dom(f) (Domain)
◦
Y를 f의 공역 (Co-Domain)
◦
를 f의 치역 Rng(f) (Range)
◦
ex) 위 예제의 f3의 경우
▪
Dom(f3) = { 1, 2, 3 }
▪
Rng(f3) = { a, b }
▪
1의 상 = a
▪
a의 원상 = { 1, 2 }
•
함수식이 같아도 정의역이 다르면 다른 함수다.
◦
ex)
•
함수 에 대하여 일 때
◦
는 X를 A로 축소한 함수
▪
◦
이면 f는 g의 A에서의 확대함수
◦
ex) A = { 1, 2 }, B = { 1, 2, 3 }, Y = { a, b, c } 일 때
▪
▪
▪
f를 축소하면 g가 되고, g를 확대하면 f가 된다.
함수의 성질
•
함수 에 대하여
◦
전사 (Onto)
▪
▪
공역에 있는 모든 원소가 화살을 받은 상태
◦
단사 (Into)
▪
▪
공역에 있는 모든 원소가 화살을 하나씩만 받은 상태
◦
전단사: 전사이고 단사인 함수. 일대일 대응
여러가지 함수
•
고등학교 교육과정 내
◦
항등함수
▪
▪
x를 넣으면 x가 그대로 나오는 함수. 정의역이 공역이면서 치역이 된다.
◦
상등함수
▪
▪
어떤 값을 넣어도 어떤 상수가 나옴.
◦
역함수
▪
전단사인 에 대하여
▪
역함수가 가능하려면 전단사 함수여야 함.
◦
합성함수
▪
두 함수 와
◦
합성함수의 성질
▪
▪
▪
▪
▪
가 모두 단사면 는 단사
▪
가 모두 전사면 는 전사
•
고등학교 교육과정 외 (집합 가 일 때)
◦
포함함수
▪
가
▪
항등함수의 축소된 함수
◦
특성함수 (지시 함수)
▪
가
▪
어떤 특정 집합을 두고, 이 특정 집합에 내가 원하는 값이 포함 되었는지 안 되었는지를 지시하는 함수
◦
선택함수
▪
집합 의 부분집합들의 집합족을 이라 할 때 모든 에 대하여 로 정의되는 함수
▪
ex) X = { 1, 2, 3, 4, 5 }, A1 = { 1, 2, 3 }, A2 = { 2, 3, 4 }, A3 = { 4, 5 } 일 때
•
함수 f가 A1, A2, A3을 정의역으로 가지고 그 치역이 각각 2, 4, 5일 경우 이 함수 f는 선택 함수가 된다. A1에 2가 포함되어 있고, A2에 4가 포함되어 있고, A3에 5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
•
반면 함수 g가 A1, A2, A3을 정의역으로 가지고 그 치역이 각각 1, 2, 3일 경우 이 함수 g는 선택 함수가 아니다. A1에 1가 포함되어 있고, A2에 2가 포함되어 있지만, A3에 3가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
여러가지 정리
•
함수 에 대하여 역함수 가 존재하면 는 전단사이다.
•
합성함수 가 단사이면 는 단사이고, 가 전사이면 는 전사이다.
•
정수집합 과 자연수집합 사이에는 일대일 대응이 존재한다.
◦
(증명) 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
▪
f는 단사임을 증명
•
case1)
•
case2)
▪
f는 전사임을 증명
•
양의 짝수집합을 양의 홀수집합을 라고 정의
•
case1)
•
case2)
▪
따라서 f는 전단사 함수이고 고로 일대일 대응이 된다.
집합의 함수
개념과 정의
•
함수 에서 이고 일 때 다음이 성립한다.
◦
f에 대한 A의 상
▪
◦
f에 대한 B의 역상
▪
◦
ex) 가 라 할때
▪
집합 A를 { -1, 0, 1, 2 } 라고 하면 집합에 대한 함수는 가 된다. (각각의 원소를 함수에 대입)
▪
집합 B를 { 0, 1, 4 } 라고 할 때 B의 역상은 가 된다.
▪
여기서 집합 B는 A의 상인데, B의 역상을 구하면 원래 집합 A보다 큰 집합이 된다.
▪
집합 A의 상은 일반적으로 집합 A의 크기보다 줄어들게 된다. (단사가 되면 동일), 반면 집합 A의 역상에 대한 상은 일반적으로 집합 A의 크기보다 커지게 된다. (전사가 되면 동일)
여러가지 정리
•
함수 에서 이고 일 때 다음이 성립한다.
◦
◦
◦
는 단사
◦
는 전사
•
함수 에 대하여 를 의 부분집합족이라 하면 다음이 성립한다.
◦
◦
◦
가 단사이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