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Duplicate

이상엽/ 집합론/ 함수

함수

함수의 정의

함수: 다음을 만족하는 X에서 Y로의 관계 f:XYf : X \to Y
xX,yY,s.t.(x,y)f\forall x \in X, \exists y \in Y, s.t. (x, y) \in f
(x,y)f(x, y) \in fy=f(x)y = f(x)라고도 쓴다.
s.t.는 such that의 약자. 그러한 것을 만족 시키는
(x,y1)f(x,y2)fy1=y2(x, y_{1}) \in f \wedge (x, y_{2}) \in f \Rightarrow y_{1} = y_{2}
ex) X = { 1, 2, 3 }, Y = { a, b, c } 일 때
f1 = { (1, a), (1, b), (2, b), (3, c) }
f1은 함수가 아니다 (1, a), (1, b) 때문
f2 = { (1, a), (2, b) }
f2는 함수가 아니다. X의 3에 대응되는 순서쌍이 없기 때문.
f3 = { (1, a), (2, a), (3, b) }
f3는 함수다. Y의 c가 없지만 이것은 함수의 정의에 부합한다.
함수 f:XYf : X \to Y에서 y=f(x)y = f(x) 일 때 다음과 같이 부른다.
y를 f에 의한 x의 상 (Image)
x를 f에 의한 y의 원상 (Pre-Image)
X를 f의 정의역 Dom(f) (Domain)
Y를 f의 공역 (Co-Domain)
{f(x)xX}=f(X)\{ f(x) | x \in X \} = f(X) 를 f의 치역 Rng(f) (Range)
ex) 위 예제의 f3의 경우
Dom(f3) = { 1, 2, 3 }
Rng(f3) = { a, b }
1의 상 = a
a의 원상 = { 1, 2 }
함수식이 같아도 정의역이 다르면 다른 함수다.
ex) {f(x)=x2Dom(f)=Rg(x)=x2Dom(g)=Cfg\begin{cases} f(x) = x^{2} & Dom(f) = \mathbb{R} \\ g(x) = x^{2} & Dom(g) = \mathbb{C} \end{cases} \Rightarrow f \neq g
함수 f:XYf : X \to Y 에 대하여 AXA \subset X 일 때
fAf |_{A} 는 X를 A로 축소한 함수
{(x,y)fxA}\{ (x, y) \in f | x \in A \}
gfAg f |_{A} 이면 f는 g의 A에서의 확대함수
ex) A = { 1, 2 }, B = { 1, 2, 3 }, Y = { a, b, c } 일 때
{f(x)={(1,a),(2,b),(3,c)}f:BY,Dom(f)=Bg(x)={(1,a),(2,b)}g:AY,Dom(g)=A\begin{cases} f(x) = \{ (1, a), (2, b), (3, c) \} & f : B \to Y, Dom(f) =B \\ g(x) = \{ (1, a), (2, b) \} & g : A \to Y, Dom(g) = A \end{cases}
g=fA\Rightarrow g = f |_{A}
f를 축소하면 g가 되고, g를 확대하면 f가 된다.

함수의 성질

함수 f:XYf : X \to Y 에 대하여
전사 (Onto)
Rng(f)=YRng(f) = Y
공역에 있는 모든 원소가 화살을 받은 상태
단사 (Into)
x1x2Xf(x1)f(x2)x_{1} \neq x_{2} \in X \Rightarrow f(x_{1}) \neq f(x_{2})
공역에 있는 모든 원소가 화살을 하나씩만 받은 상태
전단사: 전사이고 단사인 함수. 일대일 대응

여러가지 함수

고등학교 교육과정 내
항등함수
xX,IX(x)=x\forall x \in X, I_{X}(x) = x
x를 넣으면 x가 그대로 나오는 함수. 정의역이 공역이면서 치역이 된다.
상등함수
y0Y,f(X)=y0\exists y_{0} \in Y, f(X) = y_{0}
어떤 값을 넣어도 어떤 상수가 나옴.
역함수
전단사인 f:XYf : X \to Y 에 대하여 f1:YXf^{-1} : Y \to X
역함수가 가능하려면 전단사 함수여야 함.
합성함수
두 함수 f:XY,f:YZf : X \to Y, f : Y \to ZxX,(gf)(x)=g(f(x))\forall x \in X, (g \circ f)(x) = g(f(x))
합성함수의 성질
gffgg \circ f \neq f \circ g
(hg)f=h(gf)(h \circ g) \circ f = h \circ (g \circ f)
f1f=Ixf^{-1} \circ f = I_{x}
ff1=Iyf \circ f^{-1} = I_{y}
f,gf, g 가 모두 단사면 gfg \circ f는 단사
f,gf, g가 모두 전사면 gfg \circ f는 전사
고등학교 교육과정 외 (집합 A()A(\neq \emptyset)AXA \subset X 일 때)
포함함수
xA,i:AX\forall x \in A, i : A \to Xi(x)=x(A)i(x) = x (\in A)
항등함수의 축소된 함수
특성함수 (지시 함수)
xX,χA:X{0,1}\forall x \in X, \chi_{A} : X \to \{ 0, 1 \}χA(x)={1xA0xA\chi_{A} (x) = \begin{cases} 1 & x \in A \\ 0 & x \notin A \end{cases}
어떤 특정 집합을 두고, 이 특정 집합에 내가 원하는 값이 포함 되었는지 안 되었는지를 지시하는 함수
선택함수
집합 X()X(\neq \emptyset)의 부분집합들의 집합족을 {Ai}\{ A_{i} \} 이라 할 때 모든 iIi \in I에 대하여 f(Ai)Aif(A_{i}) \in A_{i} 로 정의되는 함수 f:{Ai}Xf : \{ A_{i} \} \to X
ex) X = { 1, 2, 3, 4, 5 }, A1 = { 1, 2, 3 }, A2 = { 2, 3, 4 }, A3 = { 4, 5 } 일 때
함수 f가 A1, A2, A3을 정의역으로 가지고 그 치역이 각각 2, 4, 5일 경우 이 함수 f는 선택 함수가 된다. A1에 2가 포함되어 있고, A2에 4가 포함되어 있고, A3에 5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
반면 함수 g가 A1, A2, A3을 정의역으로 가지고 그 치역이 각각 1, 2, 3일 경우 이 함수 g는 선택 함수가 아니다. A1에 1가 포함되어 있고, A2에 2가 포함되어 있지만, A3에 3가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

여러가지 정리

함수 ff 에 대하여 역함수 f1f^{-1}가 존재하면 ff 는 전단사이다.
합성함수 gfg \circ f 가 단사이면 ff 는 단사이고, gfg \circ f 가 전사이면 gg는 전사이다.
정수집합 Z\mathbb{Z} 과 자연수집합 N\mathbb{N} 사이에는 일대일 대응이 존재한다.
(증명) f:ZNf : \mathbb{Z} \to \mathbb{N} 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f(x)={2x+1x02xx<0f(x) = \begin{cases} 2x + 1 & x \geq 0 \\ -2x & x < 0 \end{cases}
f는 단사임을 증명
case1) f(x1)=f(x2)2x1+1=2x2+1x1=x2f(x_{1}) = f(x_{2}) \Rightarrow 2x_{1} + 1 = 2x_{2} + 1 \Rightarrow x_{1} = x_{2}
case2) f(x1)=f(x2)2x1=2x2x1=x2f(x_{1}) = f(x_{2}) \Rightarrow -2x_{1} = -2x_{2} \Rightarrow x_{1} = x_{2}
f는 전사임을 증명
양의 짝수집합을 Ne\mathbb{N}_{e} 양의 홀수집합을 No\mathbb{N}_{o} 라고 정의
case1) 2n+1No,nZ,s.tf(n)=2n+1\forall 2n+1 \in \mathbb{N}_{o}, \exists n \in \mathbb{Z}, s.t f(n) = 2n + 1
case2) 2mNe,mZ,s.tf(m)=2m\forall -2m \in \mathbb{N}_{e}, \exists m \in \mathbb{Z}, s.t f(m) = -2m
따라서 f는 전단사 함수이고 고로 일대일 대응이 된다.

집합의 함수

개념과 정의

함수 f:XYf : X \to Y 에서 AXA \subset X 이고 BYB \subset Y 일 때 다음이 성립한다.
f에 대한 A의 상
f(A)={f(x)YxA}f(A) = \{ f(x) \in Y | x \in A \}
f에 대한 B의 역상
f1(B)={xXf(x)B}Xf^{-1}(B) = \{ x \in X | f(x) \in B \} \subset X
ex) f:RRf : \mathbb{R} \to \mathbb{R}f(x)=x2f(x) = x^{2} 라 할때
집합 A를 { -1, 0, 1, 2 } 라고 하면 집합에 대한 함수는 f(A)={0,1,4}f(A) = \{ 0, 1, 4 \} 가 된다. (각각의 원소를 함수에 대입)
집합 B를 { 0, 1, 4 } 라고 할 때 B의 역상은 f1(B)={2,1,0,1,2}f^{-1}(B) = \{ -2, -1, 0, 1, 2 \} 가 된다.
여기서 집합 B는 A의 상인데, B의 역상을 구하면 원래 집합 A보다 큰 집합이 된다.
집합 A의 상은 일반적으로 집합 A의 크기보다 줄어들게 된다. (단사가 되면 동일), 반면 집합 A의 역상에 대한 상은 일반적으로 집합 A의 크기보다 커지게 된다. (전사가 되면 동일)

여러가지 정리

함수 f:XYf : X \to Y 에서 AXA \subset X이고 BYB \subset Y 일 때 다음이 성립한다.
f()=f(\emptyset) = \emptyset
xX,f({x})={f(x)}\forall x \in X, f(\{x\}) = \{f(x)\}
f1(f(A))=Aff^{-1}(f(A)) = A \Leftrightarrow f 는 단사
f(f1(B))=Bff(f^{-1}(B)) = B \Leftrightarrow f 는 전사
함수 f:XYf : X \to Y 에 대하여 {AααI}\{ A_{\alpha} | \alpha \in I \}XX의 부분집합족이라 하면 다음이 성립한다.
f(αIAα)=αIf(Aα)f(\cup_{\alpha \in I} A_{\alpha}) = \cup_{\alpha \in I} f(A_{\alpha})
f(αIAα)αIf(Aα)f(\cap_{\alpha \in I} A_{\alpha}) \subseteq \cap_{\alpha \in I} f(A_{\alpha})
ff가 단사이면 f(αIAα)=αIf(Aα)f(\cap_{\alpha \in I} A_{\alpha}) = \cap_{\alpha \in I} f(A_{\alph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