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수구조
대수구조
수 뿐만 아니라 수를 대신할 수 있는 모든 것을 대상으로 하는 집합과 그 집합에 부여된 연산이 여러 가지 공리로써 엮인 수학적 대상.
간단히 일련의 연산들이 주어진 집합을 대수구조라고 한다.
여러 대수구조
•
집합: 아무런 연산이 부여되지 않은 대수구조
•
반군: 집합과 그 위의 결합법칙을 따르는 하나의 이항 연산을 갖춘 대수구조
•
모노이드: 항등원을 갖는 반군
•
군: 역원을 갖는 모노이드
•
아벨군(가환군): 교환법칙이 성립하는 군
◦
아벨군이 되면 1종류의 이항 연산에 대해 4개의 기본 연산을 만족하게 됨. (결합법칙/교환법칙/항등원/역원)
•
환: 덧셈에 대하여 아벨군, 곱셈에 대하여 반군을 이루고 분배법칙이 성립하는 대수구조
◦
환부터는 2종류의 이항 연산이 부여 됨.
◦
1종류의 이항 연산은 아벨군을 만족해야 하고, 나머지 1종류의 이항 연산은 반군을 만족 시켜야 함.
•
가군: 어떤 환의 원소에 대한 곱셈이 주어지며, 분배법칙이 성립하는 아벨군
◦
벡터공간은 가군의 한 종류
◦
가군은 환에서 원소를 받는게 기본이지만, 벡터공간은 보다 엄격하게 체에서 원소를 받아 온다.
•
가환환: 곱셈이 교환법칙을 만족하는 환
◦
환 중에 반군을 만족 시키는 나머지 1종류의 연산이 추가로 교환 법칙을 만족. 하지만 항등원과 역원은 존재하지 않는다.
•
나눗셈환: 0이 아닌 모든 원소가 역원을 가지며, 원소의 개수가 둘 이상인 환
◦
환 중에 반군을 만족 시키는 나머지 1종류의 연산이 항등원과 역원을 가짐. 하지만 교환 법칙은 만족하지 않는다.
•
체: 가환환인 나눗셈환. 즉, 사칙연산이 자유로이 시행될 수 있고 산술의 잘 알려진 규칙들을 만족하는 대수구조
◦
2종류의 이항연산이 모두 4개의 기본연산을 만족 함.
-> 이런식으로 표기되면 대수구조가 된다. 대상이 되는 집합을 정의하고 그 집합에 적용되는 연산에 대한 정의가 되면 대수구조가 된다.
환 이전까지는 연산의 종류가 1종류이고 환 이후로 체까지는 연산의 종류가 2가지가 됨. 연산의 종류가 3개 이상인 경우도 있으나 여기서는 생략.
벡터공간
벡터공간
체 에 대한 가군 을 벡터공간, 의 원소의 벡터라 한다.
이때 는 벡터의 덧셈이고, 는 벡터의 스칼라배이다.
•
참고)
◦
인 함수
◦
인 함수
•
는 아벨군이다.
◦
◦
◦
인 가 에 존재한다.
◦
인 가 에 존재한다.
•
는 의 가군이다.
◦
◦
의 곱셈 항등원 1에 대해
◦
수학적으로 벡터란 벡터공간의 원소를 의미함. 벡터공간이란 벡터 대수구조를 만족하는 것을 의미. --아래 예시와 같이 덧셈 연산을 곱셈으로, 곱셈 연산을 지수 연산으로 바꾸어도 벡터 대수구조를 만족하므로 벡터 공간이 된다. 고로 그 집합에 속하는 원소 또한 벡터가 됨--
방향 같은 개념은 수학적인 벡터의 고려 대상이 아님. 그러나 이와 같은 정의가 만족되면 물리적인 벡터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이 가능. 물리적인 벡터 개념에서 엄밀한 개념만 남긴 것이 수학적 벡터 개념.
•
ex)
◦
벡터에 대한 집합과 다음과 같이 정의할 때
▪
▪
▪
•
+를 곱셈으로 정의
•
의 원소와 의 원소에 대한 을 하면 그 결과가 가 나온다.
▪
•
을 지수곱으로 정의
•
의 원소와 의 원소에 대한 을 하면 그 결과가 가 나온다.
◦
이와 같은 정의 또한 벡터공간의 대수구조를 만족하므로 벡터공간이라 할 수 있다.
▪
는 아벨군이 되고, 은 가군이 된다.
선형생성
부분벡터공간
벡터공간 상에서 정의된 덧셈과 스칼라배에 대하여 그 자체로서 벡터공간이 되는 의 부분집합 를 의 부분벡터공간 또는 부분공간이라 한다.
선형생성
벡터공간 의 공집합이 아닌 부분집합 내의 벡터들의 가능한 모든 선형결합으로 이루어진, 의 부분벡터공간을 의 (선형)생성 이라 한다. 즉,
이때 가 을 (선형)생성한다 라고 한다.
•
ex)
◦
라 할 때 --S는 (1, 0), (0, 1)의 벡터를 가진 집합
◦
◦
◦
◦
S라는 집합은 2차원 실수 벡터 공간을 생성한다. (= (1, 0), (0, 1) 이라는 벡터 2개만 있으면 2차원 실수 벡터 공간을 만들 수 있다)
선형 독립
벡터공간 의 공집합이 아닌 부분집합 에 대하여
이면 가 선형독립이라고 한다. 만약 외의 다른 해가 존재하면 S가 선형종속이라고 한다.
•
ex)
◦
라 할 때
▪
를 만족하는 K의 값은
▪
과 같이 모든 k가 0이지 않은 해가 존재하므로 은 선형종속집합이 된다.
◦
라 할 때
▪
를 만족하는 K의 값은
▪
뿐이므로 은 선형독립집합이 된다.
여러 벡터공간
노름공간
노름이 부여된 K-벡터공간
노름이란 에 대해 아래 세 조건을 만족시키는 함수
이다.
•
•
•
내적공간
내적이 부여된 K-벡터공간
내적이란 에 대해 아래 네 조건을 만족시키는 함수
이다.
•
•
•
◦
(복소수체 일 때는 위에 바가 붙고, 실수에서는 붙지 않는다)
•
유클리드공간
음이 아닌 정수 에 대하여 차원 유클리드공간 은 실수집합 의 번 곱집합이며, 이를 차원 실수 벡터공간으로써 정의하기도 한다.
이 위에 내적 을 정의하면 점곱, 스칼라곱이라고도 한다.
기저와 차원
기저
벡터공간 의 부분집합 가 선형독립이고 를 생성할 때, 를 의 기저라 한다.
•
ex)
◦
◦
일 때
▪
▪
은 의 기저
◦
일 때
▪
▪
▪
도 를 생성할 수 있고 선형독립이므로 의 기저가 된다.
◦
일 때
▪
를 만족하지만, 선형독립이 아니므로 는 의 기저가 안 된다.
차원
가 벡터공간 의 기저일 때 의 원소의 개수를 의 차원 라 한다.
•
ex)
◦
앞선 예에서 는 의 기저이고 의 원소의 개수는 2개이므로 는 2차원이 된다.
정규기저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노름공간 의 기저 를 정규기저라 한다.
직교기저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내적공간 의 기저 를 직교기저라 한다.
정규직교기저
정규기저이자 직교기저인 내적공간의 기저를 정규직교기저라 한다.
특히 의 정규직교기저
를 표준기저라 한다.
•
ex) 에 대하여
◦
는 정규기저도 아니고 직교기저도 아니다.
◦
는 정규기저지만 직교기저는 아니다.
◦
는 정규기저는 아니지만 직교기저이다.
◦
는 정규기저이고 직교기저이다. 이를 특별히 표준기저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