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브 동영상인데 현재는 삭제되어서 내용만 남김)
개념
•
연립 1차 방정식
◦
다음과 같은 방정식에 대하여
◦
◦
이라 두면
◦
방정식을 다음과 같은 형태로 쓸 수 있다.
◦
◦
즉, 방정식을 형태로 쓸 수 있다.
◦
이때 이면 homogeneous라 하고, 이면 non-homogeneous라 한다.
•
연립 방정식과 행렬
◦
연립 방정식에 다음 행위를 유한번 해도 해는 바뀌지 않는다.
1.
두 식의 순서 바꾸기
2.
i번째 식에 0이 아닌 스칼라 곱하기
3.
i번째 식에 j번째 식 더하기
◦
위 과정으로 방정식을 간단한 형태로 바꾸면 된다.
◦
위 방법을 에 대한 행렬의 언어로 쓰면 다음과 같다.
◦
행렬 에 다음 행위를 유한번 해도 는 바뀌지 않는다.
1.
두 행의 순서 바꾸기
2.
i번째 행에 0이 아닌 스칼라 곱하기
3.
i번째 행에 j번째 행 더하기
◦
위 과정으로 를 '간단한 형태'로 만들면 된다.
◦
는 와 를 이어붙여 만든 행렬을 말한다. (argumented matrix)
◦
위 1, 2, 3의 과정을 기본행 연산이라 부르고, A가 기본행연산으로 B가 된다면 라 쓰고 행동치라 부른다.
◦
'간단한 형태'란 RRE form을 말한다.
•
A : Row Echelon form
1.
모든 성분이 0인 행은 아래에 위치한다.
2.
0이 아닌 성분이 있는 행에 대하여 가장 앞에 있는 것을 pivot 이라 부를 때, pivot이 더 앞에 있는 행일 수록 더 위에 위치한다.
•
A : Reduced Row Echelon form
1.
A: Row Echelon form
2.
pivot 들이 전부 1이고, pivot이 있는 열은 piovt 외엔 전부 0이다.
•
모든 행렬은 유한번의 기본행연산으로 RRE form으로 만들 수 있고 유일하다.
◦
그렇게 변환시킨 RRE form으로 연립방정식을 쉽게 풀 수 있다.
•
연립일차방정식 의 해 에 대하여 도 해가 될 수 있다.
◦
이를 선형성이라 한다.
•
연립일차방정식 에서 가 행렬이면, 자명하지 않은 해를 가진다.
•
기본행연산을 행렬곱으로 정의
◦
A의 i번째 행과 j번째 행을 바꾸기
▪
◦
A의 i번째 행에 0이 아닌 스칼라 C 곱하기
▪
◦
A의 i번째 행에 j번째 행 더하기
▪
◦
단위행렬에 적절한 변환을 준 후 행렬에 곱하면 기본행 연산이 된다. 위와 같이 변환된 단위행렬을 기본행렬이라 한다.
•
기본행렬은 가역이고, 역행렬들도 기본행렬이다.
•
가역인 RRE from은 I 뿐이다.
•
A : 가역
◦
◦
( : 기본행렬)
◦
의 자명해는 뿐이다.
◦
는 유일해를 가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