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형사상
선형사상
•
사상이란 대수구조를 다루는 함수.
◦
엄밀히 말하면 함수보다 더 포괄적인 개념이지만, 둘이 흡사하기 때문에 혼용해서 사용함.
•
선형사상이란 가산성(additivity)과 동차성(homogeneity)을 만족하는 사상
정의
-벡터공간 에 대하여 의 성질을 보존하는 다음 두 조건을 만족하는 사상
•
◦
가산성
•
◦
동차성
•
은 선형사상이기 때문에 사용하는 기호로, 이 붙어 있으면 선형 사상이라고 보면 된다.
관련 용어
가 선형사상일 때
•
핵 (kernel):
◦
일종의 공역 개념
•
상 (image):
◦
일종의 치역 개념
•
자기사상: 인
•
단사사상: 인
•
전사사상: 인
•
동형사상: 단사사상인 전사사상
•
자기동형사상: 자기사상인 동형사상
•
항등사상: 인
•
사상의 합성: 두 선형사상 의 합성은 로 쓴다.
•
역사상
◦
일 때, 를 의 왼쪽 역사상, 을 의 오른쪽 역사상이라 한다.
◦
왼쪽 역사상이자 오른쪽 역사상을 양쪽 역사상 또는 역사상이라 한다.
여러 선형사상
가 선형사상이고 일 때
•
: 영사상
•
: 항등사상
•
(단, k는 스칼라)
•
(단, )
•
(단, )
선형대수학의 기본정리
-벡터공간 에 대하여 에서 로의 선형사상의 집합을 라 하고, 다음과 같이 위에 합과 스칼라배를 정의한다.
•
•
이제 위의 행렬들의 집합을 라 하고, 두 사상 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
◦
◦
선형사상에서 행렬로 가는 사상
•
◦
◦
행렬에서 선형사상으로 가는 사상
•
[기호 설명]
•
는 의 는 의 순서기저, 즉, 기저의 원소들은 순서가 정해져있고 바뀌지 않는다.
◦
ex)
◦
이때 가 의 순서기저가 된다.
•
에 대해
◦
ex)
◦
쉽게 말해 선형결합의 계수들을 모아 열벡터로 만든 것이다.
•
◦
ex)
◦
◦
◦
◦
◦
그러면 와 는 모두 동형사상이다. 또한 두 사상 와 는 서로 역사상 관계이다.
•
선형사상에서 행렬로 가는 사상과, 행렬에서 선형사상으로 가는 것이 동형사상이므로, 선형사상에 대해서는 그냥 행렬을 이용하면 된다.
위에 대한 증명)
선형사상에서 행렬로 가는 에 대해서
•
선형사상 증명
◦
가산성 증명
▪
▪
▪
▪
▪
◦
동차성 증명
▪
▪
▪
▪
•
동형사상 증명
◦
단사사상 증명
▪
▪
▪
▪
한편,
▪
s.t)
▪
▪
▪
▪
▪
▪
▪
◦
전사사상 증명
▪
▪
의 번째 열
▪
이제
▪
surely,
▪
•
위의 증명에 따라 선형사상에 적용되는 것은 모두 행렬에 대해 적용 가능
사상 에 대해서
•
선형사상 증명
◦
가산성 증명
▪
▪
▪
▪
▪
▪
즉,
◦
동차성 증명
▪
▪
▪
▪
▪
•
동형사상 증명
◦
단사사상 증명
▪
▪
▪
▪
▪
◦
전사사상 증명
▪
▪
Then,
▪
▪
와 는 역사상 관계
•
◦
◦
는 항등사상
•
◦
◦
는 항등사상
•
고로 와 는 역사상 관계
차원정리
차원정리
유한차원 벡터공간 와 선형사상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
증명)
◦
◦
이므로
◦
◦
목표
•
생성 증명
◦
◦
◦
◦
◦
▪
◦
◦
•
선형독립 증명
◦
라 하자
◦
◦
◦
s.t)
◦
◦
◦
은 선형독립
비둘기집 원리
따름정리
차원이 같은 두 유한 차원 벡터공간 사이에 선형사상 이 정의되어 있으면 다음이 성립한다.
은 전사 은 단사 은 전단사
•
증명)
◦
이 전사 단사
▪
Let)
▪
if 이 전사
•
•
•
•
•
•
•
•
◦
이 단사 전사
▪
if 이 단사
▪
▪
▪
이면서
▪
따라서
비둘기집 원리
공집합이 아닌 두 유한집합 의 크기가 서로 같을 때, 함수 는 다음을 만족한다.
은 전사 은 단사 은 전단사
계수 정리
관련 용어
행렬 에 대하여
•
열공간: 의 열벡터들로 생성된 공간
•
열계수: 열공간의 차원.
•
행공간: 의 행벡터들로 생성된 공간
•
행계수: 행공간의 차원.
•
영공간: 연립방정식 의 해공간
•
의 영공간 차원
예)
•
◦
열공간
▪
▪
◦
행공간
▪
▪
◦
영공간
▪
▪
▪
▪
▪
계수정리
계수정리
행렬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이때 행렬 행렬 에 대하여의 행공간 및 열공간의 공통차원을 의 계수 이라 한다.
•
증명) 행렬 를 의 기약행사다리꼴 행렬이라 하자
◦
◦
: 선도 1을 포함하는 열의 개수 = 선도 1의 개수
◦
: 선도 1을 포함하는 행의 개수 = 선도 1의 개수
◦
Rank-Nullity 정리
행렬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
증명) 행렬 를 의 기약행사다리꼴 행렬이라 하자
◦
라 하면
◦
◦
◦
◦
즉,
Rank-Nullity를 선형사상으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