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상공간
도입
•
위상수학의 본질은 연속에 대한 이해이며, 실수의 연속성으로부터 시작한다.
◦
(연속의 핵심은 극한)
Def 1. []
이라 할 때,
이때
•
은 이 의 근방에 포함된다는 의미
Def 2. [근방]
이라 할 때,
을 만족하면 을 의 근방이라 한다.
•
근방이란 을 포함하는 열린구간을 의미. 심지어 도 정의상 근방이라고도 할 수 있다.
•
근방 정의의 핵심은 로부터 얼마나 떨어져 있느냐가 아니라 연속성.
Thm 1. [근방(열린구간)의 성질]
1.
의 근방들의 유한교집합은 의 근방이다.
•
닫힌 구간인 경우에는 성립하지 않는다. 닫힌 구간들이 1개의 원소를 공유하는 경우 그 교집합은 1개의 원소가 되기 때문에 근방이 되지 않음.
2.
의 근방들의 무한합집합은 의 근방이다.
•
무한 교집합인 경우에는 성립하지 않는다. 교집합이 1개의 원소로 수렴하기 때문
Def 3. [열린집합]
열린구간들의 합집합으로 표현 가능한 집합을 열린집합이라 한다.
Thm 2. [열린집합의 성질]
1.
은 열린집합이다.
2.
열린집합의 유한교집합은 열린집합이다.
3.
열린집합의 무한합집합은 열린집합이다.
•
열린구간의 일반화 버전
◦
열린집합을 0번 합하면 공집합, 1번 합하면 열린구간이 된다.
위상공간
•
실수에서의 열린집합 성질을 바탕으로 이를 일반화하여 위상공간을 정의한다.
◦
임의의 집합 에 열린집합의 성질을 부여한 것이 위상공간
Def 1. [위상과 위상공간]
집합 와 의 부분집합의 집합족 가 다음을 만족한다고 하자.
1.
•
는 열린집합
2.
•
열린집합의 성질에서 유한 교집합과 같은 내용
3.
•
열린집합의 성질에서 무한 합집합과 같은 내용
이때 를 위의 위상(topology), 를 위상공간이라 한다.
•
1.(1).Def3에서 정의한 열린집합들의 집합족 에 대해 를 실수의 보통위상공간이라 한다.
•
정의에 의해 한 집합에는 다양한 위상이 존재함을 알 수 있다.
Def 2. [열린집합 개념의 확장]
가 집합 의 위상일 때 의 원소를 열린집합이라 한다. 즉, 위상공간 에 대해 인
ex) 집합 에 대하여 다음은 모두 위의 위상이다.
1.
: 밀착위상
2.
: 이산위상
•
모든 집합 에 대하여
◦
공집합과 자기 자신()을 포함하는 집합족도 의 위상이 되고, (최소) 이거를 밀착 위상이라고 한다.
◦
공집합과 자기 자신()과 자기 자신의 모든 부분집합을 포함하는 집합족도 의 위상이 된다. (최대) - 이게 멱집합이고 이걸 이산 위상이라고 한다.
Def 3. [닫힌집합]
가 집합 의 위상일 때 인 를 닫힌집합이라 한다. (열린집합의 여집합)
•
닫힌집합이라 해서 열린집합이 아닌 것은 아니다. 즉, 열린집합이면서 동시에 닫힌집합인 것도 존재할 수 있다.
◦
ex) 실수의 보통위상공간에서
기저
기저
•
기저로부터 위상을 효율적으로 파악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새로운 위상을 만드는 것도 가능하다.
Def. [기저]
집합 위의 위상 와 의 부분집합 에 대해 의 임의의 원소가 의 원소의 합집합으로 표현될 수 있으면 를 의 기저라 한다.
•
가 의 기저일 떄, 인 도 의 기저이다.
Thm. [기저의 또 다른 정의]
위상공간 와 의 부분집합 에 대하여 다음 두 명제는 동치이다.
1.
는 의 기저이다.
2.
Cor. [기저의 성질]
집합 위에 정의된 위상의 기저 는 다음 두 조건을 만족하며, 그 역도 성립한다.
1.
2.
ex) 다음 집합이 생성하는 집합족은 모두 위의 위상이다.
1.
2.
위상크기비교
•
같은 집합위의 서로 다른 두 위상의 크기를 비교가능한 때가 있으며, 이는 각 위상의 기저를 이용해 효율적으로도 가능하다.
Def. [위상크기비교]
집합 위의 두 위상 에 대하여 이면 이 보다 작다 (또는 가 보다 크다)고 한다.
Thm. [기저를 이용한 위상크기비교]
가 각각 집합 위의 서로 다른 두 위상 의 기저라 하자. 이때 다음 두 명제는 동치이다.
1.
이 보다 크다.
2.
, with
즉, 이면 이다. 단, 역은 일반적으로 성립하지 않는다.
거리공간
거리공간
•
위상공간에서 배제된 거리의 개념을 새로이 정의하고, 이를 집합에 부여한 공간을 고려해본다.
Def. [거리]
집합 에 대해 함수 가 다음 네 조건을 만족한다고 하자.
1.
2.
3.
4.
이때 를 위의 거리(함수), 를 거리공간이라 한다.
ex) 다음은 모두 거리공간이다.
1.
과 에 대해
•
여기서 는 유클리드 거리라고 하며 는 유클리드 공간이라 한다. (보통 로 씀)
2.
과 에 대해
3.
임의의 집합 와 에 대해
주어진 두 거리공간 으로부터 다음과 같은 곱거리함수 를 이용해 새로운 거리공간 을 만들 수 있다.
(단, )
거리화 가능 공간
•
모든 거리공간은 위상공간화 가능하다.
◦
하지만 위상공간이 거리공간으로 변환할 수 없는 것도 존재하기 때문에, 거리공간이 위상공간에 포함되는 개념이 된다. 거리는 위상공간에서 부차적인 요소이다.
◦
거리공간에서 위상공간의 기저가 될 수 있는 것을 만들어 준다.
Def. [열린구]
거리공간 과 임의의 점 , 양의 실수 에 대하여 의 부분집합
을 중심이 이고 반지름인 인 열린구라하며, 간략히 로 표기하기도 한다. (임의의 점 에서 거리 안에 포함되는 모든 점을 가져온 것. 미만 이기 때문에 열린 구가 된다. 이하이면 닫힌구, 거리와 같은 점을 모으면 구면이 된다)
•
: 닫힌구
•
: 구면
Thm. [거리공간의 위상공간 유도]
거리공간 에 대하여 모든 열린구들의 집합
는 항상 집합 위의 어떤 위상의 기저가 된다. 로부터 생성된 위상을 거리위상, 위상공간을 유도공간이라 한다. (모든 열린 구들의 집합이 어떤 위상의 기저가 된다. 그렇게 만든 기저로 위상공간의 모든 요소들을 만들어낼 수 있음)
•
어떠한 거리공간으로부터도 유도될 수 없는 위상공간이 존재한다.
◦
ex) 에 대한 밀착위상공간
•
서로 다른 두 거리공간으로부터 동일한 위상공간이 유도되기도 한다.
◦
ex)
◦
◦
◦
일 때
◦
는 원의 모양이 되고 는 정사각형 모양이 된다. 그런데 이 두 거리공간으로부터 유도되는 위상공간은 동일하다. 다시 말해 원과 사각형이 위상공간에서는 같은 것이라는 것. 이는 실수라는 무한집합을 이용하였기 때문. 이게 위상수학의 유명한 예.
관계를 다음과 같이 도식해 볼 수 있다.
내, 외부와 경계
집적점과 폐포
•
실수의 극한에 대응하는 위상공간의 개념을 알아본다.
◦
집적점은 실수의 극한의 일반화된 버전
◦
열린구간의 경계에 해당한다.
Def 1. [집적점]
위상공간 에 대해 의 를 부분집합이라 하자. 점 가 를 포함하는 임의의 열린집합 에 대하여
를 만족하면 를 의 집적점이라 한다. (가 에 포함되는지 아닌지 여부는 중요하지 않다)
•
즉 집합 의 집적점이란 의 원소들이 한없이 가까이 분포하고 있는 점이다.
•
실수의 보통위상공간과 유리수집합 에 대해 모든 실수는 의 집적점이 될 수 있다.
◦
이처럼 위상공간의 모든 원소를 집적점으로 갖는 집합의 성질을 조밀성이라 한다.
◦
또한 조밀한 가산부분집합이 존재하는 위상공간은 분해가능공간이라 한다.
Thm 1. [닫힌집합의 의미 1]
위상공간 의 부분집합 에 대해 다음 두 명제는 동치이다.
1.
는 닫힌집합이다.
2.
의 모든 집적점들은 에 포함된다.
•
닫힌집합은 열린집합의 여집합이기 때문에, 거꾸로 닫힙집합을 찾고 그것의 여집합을 하면 열린집합이 된다. --열린집합을 찾기 어려운 경우 이렇게 한다.
•
열린집합이란 위상의 원소다.
Def 2. [도집합과 폐포]
위상공간 의 부분집합 에 대해 의 모든 집적점들의 집합을 의 도집합 라 하고 을 의 폐포 라 한다.
•
집적점이 내부에 존재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의 모든 집적점들의 집합이나 그 집합과 의 합집합이 별도의 의미가 있게 된다.
Cor. [닫힌집합의 의미 2]
위상공간 의 부분집합 에 대해 다음 세 명제는 동치이다. (도집합과 폐포를 이용해서 닫힌집합을 정의할 수 있음)
1.
는 닫힌집합이다.
2.
3.
Thm 2. [폐포의 의미]
위상공간 의 부분집합 에 대해 다음 두 명제는 동치이다.
1.
2.
열린집합
내, 외부와 경계
Def. [내부, 외부, 경계]
위상공간 의 부분집합 에 대해
1.
에 포함되는 모든 열린집합의 합집합을 의 내부 라 한다.
•
위상의 원소들 가운데 에 포함되는 모든 것을 의 내부라고 한다.
2.
의 내부를 의 외부 라 한다.
•
의 여집합의 내부(열린집합)가 의 외부가 된다.
3.
를 의 경계 라 한다.
•
의 폐포와 여집합의 폐포의 교집합이 의 경계가 된다. 폐포는 직접점(경계)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실제로 경계가 된다.
Thm. [내부, 외부, 경계의 의미]
위상공간 의 부분집합 에 대해 다음이 성립한다. (이 부분 집합 는 임의의 부분집합이기 때문에 열린집합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1.
열린집합
•
의 내부에 속하는 점을 포함하면서 의 포함하는 집합이 존재한다.
2.
열린집합
•
의 외부에 속하는 점을 포함하면서 의 포함하는 집합이 존재한다.
3.
열린집합
Cor.
•
내부, 외부, 경계를 합하면 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