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수
•
자연수로부터 실수체계를 단계적으로 구성 가능하다는 것을 바이어슈트라스, 데데킨트가 증명 함
페아노 공리계
자연수는 다음의 다섯 가지 공리로 이루어진 페아노 공리계를 만족하는 수체계이다.
1.
2.
3.
•
1은 자연수의 최소원소
4.
•
자연수의 순서 구조가 순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공리
•
만일 1 다음이 2, 2 다음이 3, 3 다음이 4, 4 다음이 2라는 집합이 있다면 1의 다음수와 4의 다음수가 같아져 버리는 경우가 발생. 그래서 다음 수가 같다면 두 수는 같다고 정의가 필요.
5.
•
집합 내에 1이 존재하고 집합 내 모든 원소가 다음 수를 갖는 집합은 자연수 집합을 포함한다.
•
을 만족하는 집합을 계승집합이라고 한다.
•
자연수 집합은 가장 작은 계승집합이다.
'1'과 '그 다음 수'는 무정의 용어이다. (primitive notion, 더는 정의를 할 수 없는 근본 원리)
Thm. [수학적 귀납법]
이라 정의할 때, 명제 에 대하여 두 조건
1.
이 참
2.
이 참 이 참
이 성립하면 은 모든 자연수 에 대하여 참이다.
(수학적 귀납법의 이론적 근거가 페아노 공리계의 5번째 공리)
자연수의 성질
1.
정렬성
•
자연수집합 의 공집합이 아닌 부분집합은 항상 최소원소를 갖는다.
2.
자연수 집합 은 위로 유계가 아니다.
3.
아르키메데스 성질
•
•
어떤 양수든 그보다 더 작은 유리수가 적어도 1개 존재한다
•
정리란 참인 명제
•
성질은 정리로부터 자연스럽게 파생되는 것들
•
법칙은 연산의 규칙
유리수와 무리수
•
바빌로니아인들이 유리수를 사용했다는 증거가 있음
•
무리수는 기원전 500년경 등장
집합의 구성
1.
정수 집합
•
2.
유리수 집합
•
3.
무리수 집합
•
(위는 간략한 표현일 뿐 엄밀한 정의는 아님)
조밀성
Thm 1. [유리수의 조밀성]
어떤 두 실수 사이에도 유리수가 적어도 1개 존재한다.
증명)
•
case 1)
◦
(아르키메데스 성질)
◦
Let. Then. (위로 유계 아님 성질)
◦
의 최소원소는 (정렬성 성질)
◦
◦
◦
•
case 2)
◦
0이 유리수이므로 자명 trivial
•
case 3)
◦
◦
◦
◦
Thm 2. [무리수의 조밀성]
어떤 두 실수 사이에도 무리수가 적어도 1개 존재한다.
증명)
•
◦
◦
▪
(유리수 조밀성, 어떤 두 실수 사이에도 유리수가 유리수 이 존재)
◦
Let.
◦
Then.
실수
•
히파소스가 수론적인 접근이 아니라 직각 이등변 삼각형을 이용해서 무리수를 발견하자. 그 전까지는 수론적인 논의가 융성했던 수학 흐름이 기하학으로 넘어감.
•
그러나 기하적인 수 체계의 정의는 직관에 기댄 것이기 때문에 현대 수학에 이르러 수학적 엄밀성을 위해 실수 체계에 대한 공리가 만들어짐.
체 공리
집합 와 에 부여된 두 이항연산 가 다음 9개의 공리를 만족하면, 대수구조 를 체라 한다.
1.
•
덧셈에 대한 교환법칙
2.
•
덧셈에 대한 결합법칙
3.
•
덧셈에 대한 항등원
4.
•
덧셈에 대한 역원 (연산 결과가 항등원이 나오게 하는 것)
5.
•
곱셈에 대한 교환법칙
6.
•
곱셈에 대한 결합법칙
7.
•
곱셈에 대한 항등원. 곱셈의 항등원과 덧셈의 항등원이 달라야 하는 것이 공리
8.
•
곱셈에 대한 역원
9.
•
덧셈과 곱셈에 대한 분배법칙
와 &s=2$는 모두 체다. (유리수 체, 실수 체)
•
체 공리는 실수의 대수적 성질에 대한 것
•
집합에 연산을 부여한 것을 대수적 구조라고 한다.
•
이항연산은 집합 내의 원소들에 대해 연산을 한 결과가 집합 내에 존내하는 연산을 의미 --닫혀있는 연산
순서공리
순서 공리
에는 다음 두 조건을 만족하는 공집합이 아닌 부분집합 가 존재한다.
1.
•
집합 원소 간 덧셈과 곱셈이 모두 집합 내에 존재. 덧셈과 곱셈에 대해 닫힌 집합
2.
임의의 에 대하여 다음 중 단 하나만 성립한다.
a.
b.
c.
위 조건을 만족하면 는 양의 실수 집합이 됨
삼분성질
Def. [부등식의 정의]
임의의 에 대하여
1.
2.
순서 공리로부터 부등식을 정리함. 는 양의 실수 집합이기 때문에 위와 같이 됨.
Thm. [삼분성질]
임의의 에 대하여 다음 중 단 하나만 성립한다.
1.
2.
3.
완비성 공리
•
Completeness. 연속성 공리라고도 함. 유리수의 조밀성을 뛰어넘는 실수의 조밀성.
완비성 공리
의 공집합이 아닌 부분집합이 위로 유계이면 그 부분집합은 상한을 갖는다. (완비성 공리를 만족한다는 것은 부분집합의 상한을 원래 집합 내에서 잡을 수 있다는 것)
Def. [상한] 부분순서집합 의 부분집합 의 상계들의 집합이 최소원소를 가질 때 그 최소원소를 의 상한이라 하고 로 나타낸다.
유리수 집합은 완비성 공리를 만족하지 못함
주요 정리
Thm 1. 상한은 유일하다.
Thm 2. 가 집합 의 상계일 때 다음 세 명제는 동치이다.
1.
2.
3.
Thm 3. 는 완비성을 갖지 않는다.
완비성 공리로부터 '1. 자연수 > (2) 자연수의 성질 > 2'도 증명 가능하다.
완비성의 예 - 무한소수
위로 유계인 임의의 무한소수 부분집합을 라 하자 이제
라 하면, 무한소수 은 집합 의 상한이다. 즉, 무한소수의 집합은 완비성 공리를 만족한다.
실수는 완비성, 순서성을 만족하는 체. 완비순서체라고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