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합
•
현대 수학은 공리 --약속된 명제-- 들로부터 논리를 쌓아가는 학문.
•
수학의 가장 기본이 되는 공리계인 ZFC가 10개의 집합에 대해 서술하고 있음.
•
대부분의 수학적 대상은 모두 집합으로 정의가 됨.
◦
사칙연산은 함수의 일종이고 함수는 집합으로 정의가 됨.
정의
다음 성질들을 만족시키는 원소 들의 모임을 집합이라 한다. (아래는 소박한 정의, 현대적 정의는 공리계가 따로 있음)
1.
집합에 속하거나 속하지 않거나 둘 중 하나로써 명확하다.
2.
원소들끼리는 서로 다르다.
3.
원소들끼리는 순서에 따른 구분이 없으며, 연산이 주어지지 않는다.
•
가 집합 의 원소이면 로 표현하고 원소가 아니면 로 표현한다.
•
집합 의 원소 중에서 명제 를 만족시키는 원소로 이루어진 집합 를 조건제시법으로 라 표현하며, 이때 를 전체집합이라 한다.
•
공집합은 아무런 원소를 가지지 않는 집합이며, 기호로 라 표현한다.
집합의 연산
합집합
집합 에 대하여 집합들 의 합집합은 (여기서 는 첨수라 하고 그 첨수들 모은 집합인 를 첨수족이라 한다)
이고 특히 두 집합 와 의 합집합을
라 표현한다.
교집합
집합 에 대하여 집합들 의 교집합은
이고 특히 두 집합 와 의 교집합을
라 표현한다.
곱집합
집합 에 대하여 집합들 의 곱집합은 (데카르트곱 또는 카테시안곱이라고 한다. 카테시안은 데카르트의 라틴어 표현)
•
여기서 는 튜플이라고 한다. 순서쌍이라고도 하는데 순서쌍은 원소가 2개짜리 튜플을 의미.
•
튜플이란 여러 개 원소를 순서 있게 나열한 것.
이고 특히 두 집합 와 의 곱집합을
라 표현한다.
차집합
집합 에 속하지만 집합 에는 속하지 않는 원소의 집합을
라 표현하며, 와 의 차집합이라 한다.
전체집합 에 대하여 라 표현하며 의 여집합이라 한다.
•
다음이 성립한다.
◦
드모르간 법칙
▪
▪
◦
분배 법칙
▪
▪
▪
▪
▪
포함관계
•
만약 집합 에 속하는 모든 원소가 집합 의 원소이기도 하면 라 표현하며, 를 의 부분집합이라 한다.
•
만약 이면서 동시에 이면 라 표현하며, 와 가 서로 같다고 한다.
•
만약 이면서 이면 라 표현하며, 를 의 진부분집합이라 한다.
•
집합 의 모든 부분집합들의 집합을 라 표현하며 의 멱집합이라 한다. (P는 Power Set)
•
집합 기호
◦
: 모든 자연수의 집합
◦
: 모든 홀수의 집합
◦
: 모든 짝수의 집합
◦
: 모든 정수의 집합
◦
: 모든 유리수의 집합
◦
: 모든 무리수의 집합
◦
: 모든 실수의 집합
◦
: 모든 복소수의 집합
함수
정의
두 집합 에 대하여 아래 두 조건을 만족하는 의 부분집합 를 함수라 한다. (두 집합의 곱집합의 부분집합이 함수가 됨)
•
◦
(모든 가 값을 갖는다)
•
◦
(가 값을 1개만 갖는다)
이때 함수를 라 표현하며, 이면 라 표현한다.
•
집합 및 함수 에 대하여 를 의 상(Image)이라 한다.
•
집합 및 함수 에 대하여 를 의 원상(Pre Image)이라 한다.
•
에서 를 정의역(Domain) 를 공역(Codomain) 를 치역(Range) 라 한다.
함수의 종류
함수 에 대하여
•
전사:
◦
(치역 = 공역, 남는 가 없다)
•
단사:
◦
(도 를 1개씩 갖는다)
•
전단사: 전사이고 단사인 함수. 일대일대응이라고도 한다.
•
1
◦
에 남는 값이 있기 때문에 전사가 아님
◦
에 2개의 화살을 받는 값이 있으므로 단사가 아님
◦
고로 전사도 단사도 아님
•
2
◦
에 남는 값이 있기 때문에 전사가 아님
◦
에 2개의 화살을 받는 값이 없으므로 단사가 됨
◦
고로 단사지만 전사는 아님. 단사 함수.
•
3
◦
에 남는 값이 없기 때문에 전사가 됨
◦
에 2개의 화살을 받는 값이 있으므로 단사가 아님
◦
고로 전사지만 단사는 아님. 전사 함수
•
4
◦
에 남는 값이 없기 때문에 전사가 됨
◦
에 2개의 화살을 받는 값이 없으므로 단사가 됨
◦
고로 전단사(일대일 대응) 함수가 됨.
여러 가지 함수
•
항등함수:
◦
(자기 자신이 그대로 나오는 함수)
•
상수함수:
◦
(어떠한 값을 넣어도 항상 상수가 나옴)
•
역함수: 전단사인 에 대해
◦
(함수를 뒤집은 함수인데, 전단사여야만 역함수가 가능)
•
합성함수: 두 함수 와
집합의 크기
정의
•
집합의 크기란 집합의 원소 개수에 대한 척도이다.
•
두 집합 에 대하여 전단사함수 가 존재하면 와 는 동등이며, 라 표현한다.
•
집합 의 적당한 진부분집합 가 와 동등하면 는 무한집합이다.
•
무한집합이 아닌 집합을 유한집합이라 한다.
•
집합 가 일 때 를 가부번집합이라 한다.
•
유한집합이나 가부번집합을 가산집합이라 한다.
•
가부번집합이 아닌 무한집합을 비가산집합이라 한다.
여러 가지 정리
•
•
는 비가부번집합이다.
•
•
칸토어의 정리: 공집합이 아닌 임의의 집합 에 대하여 의 크기는 의 크기보다 크다.
•
순서관계
•
(기본적인 집합에 연산구조, 순서구조, 위상구조 등을 부여할 수 있음)
순서집합
아래 조건들을 만족하는 집합 위의 이항 관계 를 부분순서관계라 한다.
1.
•
(반사적, reflexive)
2.
•
(추이적, transitive)
3.
•
(반대칭적, antisymmetric)
•
부분순서관계 를 갖춘 집합을 부분순서집합이라 한다.
•
부분순서집합 의 어떤 두 원소 가 을 만족하면 와 는 비교가능하다고 한다.
•
부분순서집합 의 임의의 두 원소가 비교가능하면 를 전순서집합이라 한다.
상(하)계, 극대(소), 최대(소)
부분순서집합 의 부분집합 에 대하여
•
를 만족하는 를 의 상계(upper bound)라 한다.
•
상계가 존재하는 를 '위로 유계(bounded)이다'라고 한다.
•
위로 유계이면서 동시에 아래로 유계인 집합을 유계집합이라 한다.
•
인 가 존재하지 않을 때 를 의 극대원소라 한다.
•
인 를 의 최대원소라 한다.
각 항목의 부등호 방향을 바꿔주면 각각 하계(lower bound), 아래로 유계, 유계집합, 극소원소, 최소원소의 정의가 된다.
•
집합 A의
◦
상계: l, m, n
◦
최소상계: l
◦
하계: a, d, e, f
◦
최대하계: 없음
◦
극대: j, k
◦
극소: g
◦
최대: 없음
◦
최소: 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