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Duplicate

이상엽/ 해석학/ 집합론 복습

집합

현대 수학은 공리 --약속된 명제-- 들로부터 논리를 쌓아가는 학문.
수학의 가장 기본이 되는 공리계인 ZFC가 10개의 집합에 대해 서술하고 있음.
대부분의 수학적 대상은 모두 집합으로 정의가 됨.
사칙연산은 함수의 일종이고 함수는 집합으로 정의가 됨.

정의

다음 성질들을 만족시키는 원소 xx들의 모임을 집합이라 한다. (아래는 소박한 정의, 현대적 정의는 공리계가 따로 있음)
1.
집합에 속하거나 속하지 않거나 둘 중 하나로써 명확하다.
2.
원소들끼리는 서로 다르다.
3.
원소들끼리는 순서에 따른 구분이 없으며, 연산이 주어지지 않는다.
xx가 집합 XX의 원소이면 xXx \in X로 표현하고 원소가 아니면 xXx \notin X로 표현한다.
집합 UU의 원소 중에서 명제 PP를 만족시키는 원소로 이루어진 집합 XX를 조건제시법으로 X={xUP(x)}X = \{ x \in U | P(x) \}라 표현하며, 이때 UU를 전체집합이라 한다.
공집합은 아무런 원소를 가지지 않는 집합이며, 기호로 \emptyset라 표현한다.

집합의 연산

합집합

집합 I={1,2,...,n}I = \{ 1, 2, ... , n \}에 대하여 집합들 Ai(iI)A_{i} (i \in I)의 합집합은 (여기서 ii는 첨수라 하고 그 첨수들 모은 집합인 II를 첨수족이라 한다)
iIAi={xiIs.t.xAi}\cup_{i \in I} A_{i} = \{ x | \exists i \in I s.t. x \in A_{i} \}
이고 특히 두 집합 AABB의 합집합을
AB={xxAxB}A \cup B = \{ x | x \in A \vee x \in B \}
라 표현한다.

교집합

집합 I={1,2,...,n}I = \{ 1, 2, ... , n \}에 대하여 집합들 Ai(iI)A_{i} (i \in I)의 교집합은
iIAi={xiIs.t.xAi}\cap_{i \in I} A_{i} = \{ x | \forall i \in I s.t. x \in A_{i} \}
이고 특히 두 집합 AABB의 교집합을
AB={xxAxB}A \cap B = \{ x | x \in A \wedge x \in B \}
라 표현한다.

곱집합

집합 I={1,2,...,n}I = \{ 1, 2, ... , n \}에 대하여 집합들 Ai(iI)A_{i} (i \in I)의 곱집합은 (데카르트곱 또는 카테시안곱이라고 한다. 카테시안은 데카르트의 라틴어 표현)
ΠiIAi={(xi)iIiIs.t.xAi}\Pi_{i \in I} A_{i} = \{ (x_{i})_{i \in I} | \forall i \in I s.t. x \in A_{i} \}
여기서 (xi)iI(x_{i})_{i \in I}는 튜플이라고 한다. 순서쌍이라고도 하는데 순서쌍은 원소가 2개짜리 튜플을 의미.
튜플이란 여러 개 원소를 순서 있게 나열한 것.
이고 특히 두 집합 AABB의 곱집합을
A×B={(x1,x2)x1Ax2B}A \times B = \{ (x_{1}, x_{2}) | x_{1} \in A \wedge x_{2} \in B \}
라 표현한다.

차집합

집합 AA에 속하지만 집합 BB에는 속하지 않는 원소의 집합을
AB={xxAxB}=ABcA - B = \{ x | x \in A \wedge x \notin B \} = A \cap B^{c}
라 표현하며, AABB의 차집합이라 한다.
전체집합 UU에 대하여 UA=AcU - A = A^{c}라 표현하며 AA의 여집합이라 한다.
다음이 성립한다.
드모르간 법칙
(iIAi)c=iIAic(\cup_{i \in I} A_{i})^{c} = \cap_{i \in I} A_{i}^{c}
(iIAi)c=iIAic(\cap_{i \in I} A_{i})^{c} = \cup_{i \in I} A_{i}^{c}
분배 법칙
A(iIBi)=iI(AB)A \cap (\cup_{i \in I} B_{i}) = \cup_{i \in I} (A \cap B)
A(iIBi)=iI(AB)A \cup (\cap_{i \in I} B_{i}) = \cap_{i \in I} (A \cup B)
A×(BC)=(A×B)(A×C)A \times (B \cap C) = (A \times B) \cap (A \times C)
A×(BC)=(A×B)(A×C)A \times (B \cup C) = (A \times B) \cup (A \times C)
A×(BC)=(A×B)(A×C)A \times (B - C) = (A \times B) - (A \times C)

포함관계

만약 집합 AA에 속하는 모든 원소가 집합 BB의 원소이기도 하면 ABA \subseteq B라 표현하며, AABB의 부분집합이라 한다.
만약 ABA \subseteq B이면서 동시에 BAB \subseteq A이면 A=BA = B라 표현하며, AABB가 서로 같다고 한다.
만약 ABA \subseteq B이면서 ABA \neq B이면 ABA \subset B라 표현하며, AABB의 진부분집합이라 한다.
집합 AA의 모든 부분집합들의 집합을 P(A)P(A)라 표현하며 AA의 멱집합이라 한다. (P는 Power Set)
집합 기호
N\mathbb{N}: 모든 자연수의 집합
No\mathbb{N}_{o}: 모든 홀수의 집합
Ne\mathbb{N}_{e}: 모든 짝수의 집합
Z\mathbb{Z}: 모든 정수의 집합
Q\mathbb{Q}: 모든 유리수의 집합
I\mathbb{I}: 모든 무리수의 집합
R\mathbb{R}: 모든 실수의 집합
C\mathbb{C}: 모든 복소수의 집합

함수

정의

두 집합 X,YX, Y에 대하여 아래 두 조건을 만족하는 X×YX \times Y의 부분집합 ff를 함수라 한다. (두 집합의 곱집합의 부분집합이 함수가 됨)
xX,yY,s.t.(x,y)f\forall x \in X, \exists y \in Y, s.t. (x, y) \in f
(모든 xxyy값을 갖는다)
(x,y1)f(x,y2)fy1=y2(x, y_{1}) \in f \wedge (x, y_{2}) \in f \Rightarrow y_{1} = y_{2}
(xxyy값을 1개만 갖는다)
이때 함수를 f:XYf : X \to Y라 표현하며, (x,y)f(x, y) \in f이면 y=f(x)y = f(x)라 표현한다.
집합 AXA \subseteq X 및 함수 f:XYf : X \to Y에 대하여 f(A)={f(a)aA}f(A) = \{ f(a) | a \in A \}AA의 상(Image)이라 한다.
집합 BYB \subseteq Y 및 함수 f::XYf: : X \to Y에 대하여 f1(B)={xXf(x)B}f^{-1}(B) = \{ x \in X | f(x) \in B \}BB의 원상(Pre Image)이라 한다.
f:XYf : X \to Y에서 XX를 정의역(Domain) Dom(f),YDom(f), Y를 공역(Codomain) f(X)={f(x)xX}f(X) = \{ f(x) | x \in X \}를 치역(Range) Rng(f)Rng(f)라 한다.

함수의 종류

함수 f:XYf : X \to Y에 대하여
전사: Rng(f)=YRng(f) = Y
(치역 = 공역, 남는 yy가 없다)
단사: x1x2Xf(x1)f(x2)x_{1} \neq x_{2} \in X \Rightarrow f(x_{1}) \neq f(x_{2})
(yyxx를 1개씩 갖는다)
전단사: 전사이고 단사인 함수. 일대일대응이라고도 한다.
1
YY에 남는 값이 있기 때문에 전사가 아님
YY에 2개의 화살을 받는 값이 있으므로 단사가 아님
고로 전사도 단사도 아님
2
YY에 남는 값이 있기 때문에 전사가 아님
YY에 2개의 화살을 받는 값이 없으므로 단사가 됨
고로 단사지만 전사는 아님. 단사 함수.
3
YY에 남는 값이 없기 때문에 전사가 됨
YY에 2개의 화살을 받는 값이 있으므로 단사가 아님
고로 전사지만 단사는 아님. 전사 함수
4
YY에 남는 값이 없기 때문에 전사가 됨
YY에 2개의 화살을 받는 값이 없으므로 단사가 됨
고로 전단사(일대일 대응) 함수가 됨.

여러 가지 함수

항등함수: xX,IX(x)=x\forall x \in X, I_{X}(x) = x
(자기 자신이 그대로 나오는 함수)
상수함수: y0Y,f(X)=y0\exists y_{0} \in Y, f(X) = y_{0}
(어떠한 값을 넣어도 항상 상수가 나옴)
역함수: 전단사인 f:XYf : X \to Y에 대해 f1:YXf^{-1} : Y \to X
(함수를 뒤집은 함수인데, 전단사여야만 역함수가 가능)
합성함수: 두 함수 f:XY,g:YZf : X \to Y, g : Y \to ZxX,(gf)(x)=g(f(x))\forall x \in X, (g \circ f)(x) = g(f(x))

집합의 크기

정의

집합의 크기란 집합의 원소 개수에 대한 척도이다.
두 집합 X,YX, Y에 대하여 전단사함수 f:XYf : X \to Y가 존재하면 XXYY는 동등이며, XYX \approx Y라 표현한다.
집합 XX의 적당한 진부분집합 YYXX와 동등하면 XX는 무한집합이다.
무한집합이 아닌 집합을 유한집합이라 한다.
집합 XXXNX \approx \mathbb{N}일 때 XX를 가부번집합이라 한다.
유한집합이나 가부번집합을 가산집합이라 한다.
가부번집합이 아닌 무한집합을 비가산집합이라 한다.

여러 가지 정리

NZQ\mathbb{N} \approx \mathbb{Z} \approx \mathbb{Q}
R\mathbb{R}는 비가부번집합이다.
RRQC\mathbb{R} \approx \mathbb{R} - \mathbb{Q} \approx \mathbb{C}
칸토어의 정리: 공집합이 아닌 임의의 집합 XX에 대하여 P(X)P(X)의 크기는 XX의 크기보다 크다.
P(N)RP(\mathbb{N}) \approx \mathbb{R}

순서관계

(기본적인 집합에 연산구조, 순서구조, 위상구조 등을 부여할 수 있음)

순서집합

아래 조건들을 만족하는 집합 XX위의 이항 관계 \leq를 부분순서관계라 한다.
1.
xX,xx\forall x \in X, x \leq x
(반사적, reflexive)
2.
x,y,zX,xyzxz\forall x, y, z \in X, x \leq y \leq z \Rightarrow x \leq z
(추이적, transitive)
3.
x,yX,xyxx=y\forall x, y \in X, x \leq y \leq x \Rightarrow x = y
(반대칭적, antisymmetric)
부분순서관계 \leq를 갖춘 집합을 부분순서집합이라 한다.
부분순서집합 XX의 어떤 두 원소 x,yx, yxyyxx \leq y \vee y \leq x을 만족하면 xxyy는 비교가능하다고 한다.
부분순서집합 XX의 임의의 두 원소가 비교가능하면 XX를 전순서집합이라 한다.

상(하)계, 극대(소), 최대(소)

부분순서집합 XX의 부분집합 AA에 대하여
aA,ax\forall a \in A, a \leq x를 만족하는 xXx \in XAA의 상계(upper bound)라 한다.
상계가 존재하는 AA를 '위로 유계(bounded)이다'라고 한다.
위로 유계이면서 동시에 아래로 유계인 집합을 유계집합이라 한다.
a>ma > maAa \in A가 존재하지 않을 때 mAm \in AAA의 극대원소라 한다.
aA,ag\forall a \in A, a \leq ggAg \in AAA의 최대원소라 한다.
각 항목의 부등호 방향을 바꿔주면 각각 하계(lower bound), 아래로 유계, 유계집합, 극소원소, 최소원소의 정의가 된다.
집합 A의
상계: l, m, n
최소상계: l
하계: a, d, e, f
최대하계: 없음
극대: j, k
극소: g
최대: 없음
최소: 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