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Duplicate

김영길/ 선형대수학/ field, vector space

개론

Vector

물리에서의 Vector - 크기와 방향이 있는 것
수학에서의 Vector - [1234][ 1 \, 2 \, 3 \, 4 ]

Field (체)

아래의 조건을 만족하는 집합을 Field(체)라고 한다.
2개의 이항 연산을 갖고 있음 (+,)(+, \cdot)
예시는 덧셈과 곱셈이지만 항상 덧셈과 곱셈일 필요는 없다. 여하튼 2개의 연산을 갖고 있고, 두 연산이 이하의 조건을 만족하기만 하면 된다.
닫혀 있음
2개의 이항 연산이 모두 교환법칙(commutative)이 성립해야 함
a+b=b+aa + b = b + a
ab=baa \cdot b = b \cdot a
2개의 이항 연산이 모두 결합법칙(associative)이 성립해야 함
(a+b)+c=a+(b+c)(a + b) + c = a + (b + c)
(ab)c=a(bc)(a \cdot b) \cdot c = a \cdot (b \cdot c)
2개의 이항 연산에 모두 항등원이 존재해야 함
0+a=a0 + a = a (additive identity)
1a=a1 \cdot a = a (multiplicative identity)
(연산에 항등원이 존재한다는 것은 해당 연산에 기준점이 존재한다는 의미)
2개의 이항 연산에 모두 역원이 존재해야 함
a+(a)=0a + (-a) = 0 (additive inverse)
bb1=1b \cdot b^{-1} = 1 (multiplicative inverse)
2개의 연산에 대해 분배법칙(distributive)이 성립해야 함
a(b+c)=ab+aca \cdot (b + c) = a \cdot b + a \cdot c

Examples of Field

ZnZ_{n}을 정수를 nn으로 나눈 나머지의 집합이라고 가정할 때,
Z2Z_{2}는 체를 만족한다.
마찬가지로 Z3,Z5,Z7Z_{3}, Z_{5}, Z_{7}는 체를 만족한다.
일반적으로 nn이 소수인 경우에는 체가 만족된다.
정수 집합, 자연수 집합은 Field가 아니다.

Vector Space

벡터 공간은 벡터들의 집합이고 다음 조건을 만족한다.
(+,)(+, \cdot) 연산이 정의되어 있음.
$++는 벡터간의 더하기인데 반해
\cdot는 벡터와 스칼라의 곱이기 때문에, \cdot은 이항연산이라는 표현을 하지 않음
x,yV,a,bFx, y \in V, a, b \in F에 대하여 (x,yx, y는 벡터의 원소, a,ba, b는 체의 원소)
닫혀 있음
벡터간 ++ 연산이 교환법칙이 성립해야 함
x+y=y+xx + y = y + x
벡터간 ++ 연산이 결합법칙이 성립해야 함
(x+y)+z=x+(y+z)(x + y) + z = x + (y + z)
벡터간 ++ 연산과 벡터-스칼라의 \cdot 연산이 항등원을 갖고 있어야 함.
0V:x+0=x\exists 0 \in V : x + 0 = x
xV:1x=x\forall x \in V : 1 \cdot x = x
벡터와 스칼라의 \cdot 연산에 교환법칙이 성립해야 함
xV,a,bF:(ab)x=a(bx)x \in V, a, b \in F : (a \cdot b) \cdot x = a \cdot (b \cdot x)
스칼라간 \cdot과 벡터-스칼라간 \cdot는 서로 다른 연산임에 주의
벡터와 스칼라 연산에 분배법칙이 성립해야 함
a(x+y)=ax+aya(x + y) = ax + ay
(a+b)x=ax+bx(a + b) x = ax + bx
(일반적으로 벡터와 벡터 공간에 대해 설명할 때, 벡터 공간을 정의하는데 벡터가 필요하고 --벡터와 연산에 대한 집합--, 벡터를 정의하는데 벡터 공간이 필요한데 --벡터는 벡터공간의 원소-- 정의가 순환적이라고 느껴진다. 아마도 벡터 공간을 정의할 때 필요한 집합을 임의의 것으로 하고, 그렇게 정의된 벡터 공간에 포함된 원소를 벡터로 정의하는게 맞는 것 같다.)
참고) n-tuple 은 체(F)의 원소가 n개 나열된 것을 의미한다.
(a1,a2,...,an)(a_{1}, a_{2}, ... , a_{n})
(생긴게 비슷하지만 다르니 주의)
행렬도 벡터 공간의 정의를 만족하기 때문에 벡터 공간의 원소라 할 수 있다.
Mm×n(F)={[ai,j]m×nai,jF}M_{m \times n} (F) = \{ [a_{i, j}]_{m \times n} | a_{i, j} \in F \}
(234567)M2×3(F)\left( \begin{array}{rrr} 2 & 3 & 4 \\ 5 & 6 & 7 \end{array} \right) \in M_{2 \times 3}(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