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계
용어 정리
•
관계
◦
곱집합 의 부분집합
◦
◦
P(x, y)는 명제함수
◦
ex) A = {2, 3}, B = {4, 6} 이라 할 때,
▪
이 되고
▪
명제함수 P(x, y)를 'x는 y의 약수이다' 라고 정의하면
▪
이 된다.
▪
이때 의 한 원소인 (2, 4)는 또는 와 같이 표기가 가능하다.
•
관계 의 해집합
◦
•
정의역 (Domain)
◦
적당한 에 대하여, 인 모든 의 집합
◦
의 왼쪽에 오는 원소들(x). 위의 예시의 경우
•
상 (Image)
◦
적당한 에 대하여, 인 모든 의 집합
◦
의 오른쪽에 오는 원소들(y). 위의 예시의 경우
관계의 성질
집합 X에서의 관계 에 대하여
•
반사성:
◦
ex) X = {1, 2, 3} 에서의 관계
▪
는 반사적이지 않다. (3, 3)이 없기 때문
▪
는 반사적이다. 자기 자신에 대해 반사적인 원소가 모두 있으면 추가적인 원소가 있는 것은 반사성에 영향이 없다.
▪
이때 반사성을 이루는 원소 (1, 1), (2, 2), (3, 3)을 특별히 라고 표기하며 대각관계 또는 항등관계라고 부른다.
▪
집합이 반사적이라는 말은 대각관계(또는 항등관계)를 포함하고 있다는 말이 된다.
•
대칭성:
◦
ex) X = {1, 2, 3} 에서의 관계
▪
는 대칭적이다. (1, 2)가 있을 때 (2, 1)이 있으면 대칭적이라고 인정한다.
•
반대칭성:
◦
ex) X = {1, 2, 3} 에서의 관계
▪
는 반대칭적이지 않다. 대칭되는 쌍이 존재하기 때문. 만일 위 집합에서 (1, 2)나 (2, 1)이 빠지면 반대칭적이 된다.
▪
반면 반대칭성의 정의에 의해 (1, 1)은 반대칭적이다. 이 성립하기 때문.
•
추이성:
◦
ex) X = {1, 2, 3} 에서의 관계
▪
은 추이적이지 못하다. (1, 2), (2, 3)은 있지만 (1, 3)은 없기 때문. 위 집합에 (1, 3)을 추가하면 추이적이 된다. (3, 1)이 추가 되어야 하는 것이 아니므로 주의.
•
ex) X = {1, 2, 3} 에서의 관계
◦
가 있을 때
◦
위 집합은 반사적이지 못하다. (3, 3)이 없기 때문.
◦
위 집합은 대칭적이다. (1, 3)에 대칭되는 (3, 1)이 존재하고 (2, 3)에 대칭되는 (3, 2)가 존재하기 때문.
◦
위 집합은 반대칭적이지 못하다. 대칭적이기 때문.
◦
위 집합은 추이적이지 못하다. (1, 3)과 (2, 3)이 존재하지만 (1, 2)가 없기 때문.
여러가지 관계
•
역관계
◦
이면 오직 그 때에만 즉,
◦
ex) 의 역관계는 가 된다.
•
합성관계
◦
집합 X에서의 관계 G와 H에 대하여 합성관계
▪
합성 관계의 순서는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위 합성관계에서 G를 먼저 쓰고 그 후에 H를 쓰면 된다.
◦
ex)
•
역관계와 합성관계에 관한 정리
◦
집합 X에서의 관계 F, G, H에 대하여 다음이 모두 성립한다.
▪
▪
▪
•
동치관계
◦
반사적, 대칭적, 추이적인 관계
◦
ex) "=" 는 반사적이고 대칭적이고 추이적이므로 동치 관계가 된다.
▪
반사적:
▪
대칭적:
▪
추이적:
◦
집합 에 대하여 가장 작은 동치관계는의 대각관계가 되고, 가장 큰 동치관계는 가 된다.
◦
동치관계는 E라고 표기하기도 한다.
•
순서관계
◦
반사적, 반대칭적, 추이적인 관계
◦
ex) 은 순서 관계이다.
동치관계와 분할
용어 정리
•
분할: 집합 X에 대하여 다음 세 조건을 만족하는 집합족
◦
공집합을 원소로 하지 않는다.
◦
X를 덮는다.
◦
서로소 집합족이다.
◦
ex) X = {1, 2, 3, 4, 5} 에서의 분할 P를 다음과 같이 구성 P = { {1, 2}, {3, 4}, {5} }
•
동치류: 집합 X 상의 하나의 동치 관계를 E라 할 때
◦
◦
ex) X = {1, 2, 3, 4, 5} 일 때
▪
E = { (1, 1), (2, 2), (3, 3), (4, 4), (5, 5), (1, 3), (3, 1), (2, 4), (4, 2) } 라 하면
▪
•
1의 동치류라는 것은 왼쪽에 1이 나오는 순서쌍의 오른쪽 것을 의미한다.
▪
▪
▪
▪
•
상집합: 집합 X에서의 모든 동치류의 집합
◦
◦
ex) 앞선 예와 같이 동치류들이 구성되었을 때
▪
상집합 는 모든 동치류들을 합한 것이므로 다음과 같다.
▪
이 상집합은 집합의 분할과 동일하다. 이는 다시 말해 동치관계를 알면 그 동치관계를 이용해서 분할을 끌어낼 수 있다는 뜻이 된다.
▪
물론 그 역도 성립하므로 분할을 알면 동치 관계를 이끌어낼 수 있다.
•
(분할 P에 의한 관계)
◦
◦
ex) X = {1, 2, 3, 4, 5}, P = { {1, 2}, {3, 4}, {5} } 일 때, P의 부분집합을 각각 이라 하면
▪
▪
▪
▪
이 를 모두 모으면 이 된다.
여러가지 정리
•
공집합이 아닌 집합 X 위의 동치관계 E에 대하여 다음이 모두 성립한다.
◦
◦
◦
◦
는 의 분할이다.
•
공집합이 아닌 집합 X의 분할 P에 대하여 다음이 모두 성립한다.
◦
는 상의 동치관계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