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치 행렬(Transpose Matrix)
•
행렬 에 대하여 의 행과 열을 바꾸어 얻은 행렬을 의 전치 행렬이라고 하고 로 표시한다.
•
행렬의 곱에 전치를 하면 그 순서가 뒤집힌다.
역 행렬(Inverse Matrix)
•
행렬의 역은 원래 행렬과 곱해서 항등 행렬을 만들 수 있는 행렬로 정의한다.
•
역행렬이 존재할 수 있는 조건은 다음과 같다.
1.
정사각행렬이어야 함.
•
정사각행렬이 아니면 행렬식이 존재할 수 없다.
2.
행렬식이 0이 아니어야 함.
•
행렬식은 오로지 정사각행렬에서만 정의된다.
3.
행렬이 풀랭크여야 함. 일 때
•
모든 열이 독립이거나, 모든 행이 독립
•
정사각일 때, 모든 열이 독립이면, 모든 행이 독립이 되고, 모든 행이 독립이면 모든 열이 독립하게 됨.
•
정사각이 아니면 모든 열이 독립이거나 모든 행이 독립일 수는 있어도 그 둘이 동시에는 불가능함
•
직교는 독립보다 더 강한 조건이기 때문에 직교하면 독립이다. 반대로 독립이라고 직교는 당연히 아님.
◦
정사각행렬에서 2와 3은 사실 동치이다. 정사각행렬에서 행렬식이 0이 아니면 풀랭크고, 정사각행렬이 풀랭크면 행렬식이 0이 아니다.
•
이고 특이가 아닐 때 역행렬은 다음의 속성을 갖는다.
•
위의 2번째 속성은 행렬이 여러 개일 때 다음처럼 확장된다.
•
block 대각 행렬에 대해 역은 단순히 각 블록의 역을 분리하여 얻는다.
직교(Orthogonal) 행렬
•
정사각 행렬 의 모든 열벡터가 정규직교(orthognormal)인 경우—orthogonal이 아니므로 주의— 직교 행렬(orthogonal matrix)이라 한다.
◦
정사각 행렬의 모든 열벡터가 단위 벡터이면서 직교하면, 동시에 모든 행벡터 또한 단위벡터이면서 직교하게 된다.
◦
정사각이 아니면 모든 열이나 모든 행이 직교할 수는 있어도 그 둘이 동시에 직교하지는 못한다.
◦
벡터에서와 달리 행렬에 대해서는 정규직교(orthonormal)을 정의하지 않는다.
◦
복소수 행렬에서는 유니터리 행렬(unitary matrix)라고 한다.
•
직교 행렬 는 자신의 전치 행렬 과 곱할 때 항등 행렬 이 된다. 다음이 성립한다.
•
모든 직교 행렬은 가역이고, 행렬의 역행렬은 전치 행렬과 같다.
•
직교 행렬의 역행렬과 전치 행렬도 직교 행렬이다.
•
직교 행렬의 행렬식은 이다.
정부호(Definite)-준정부호(Semi-Definite) 행렬
•
영벡터가 아닌 모든 벡터 에 대해 다음 부등식이 성립하면 행렬 를 양의 정부호(positive definite)라고 한다.
◦
이 경우 이차형식의 그래프는 모든 방향에서 볼록(convex)하며, 이차형식은 극소값을 갖는다.
•
만일 양의 정부호 식이 등호를 포함하면 양의 준정부호(positive semi-definite)라고 한다.
◦
이 경우 이차형식의 그래프가 극소값을 가질 수도 있다. ‘편평한’ 영역(값이 변하지 않는 영역)이 있을 수 있다.
•
만일 양의 정부호 식의 부등호 방향이 바뀌면 음의 정부호(negative definite)라고 한다.
◦
이 경우 이차형식의 그래프는 모든 방향에서 오목(concave)하며, 이차형식은 극대값을 갖는다.
•
비슷하게 음의 정부호 식이 등호를 포함하면 음의 준정부호(negative semi-definite)라고 한다.
◦
이 경우 이차형식의 그래프가 극대값을 가질 수도 있다. ‘편평한’ 영역이 있을 수 있다.
•
위 방법에 따르면 모든 행렬에 대해 양의 정부호와 준정부호를 정의할 수 있지만 보통 대칭행렬에 대해서만 정의한다.
•
참고로 위와 같이 ‘행벡터 x 정방행렬 x 열벡터’의 형식으로 되어 있는 경우, 벡터의 이차형식(Quadratic Form)이라 한다.
•
행렬 가 양의 정부호면 는 음의 정부호가 되고, 가 음의 정부호면 는 양의 정부호가 된다.
◦
비슷하게 행렬 가 양의 준정부호면 는 음의 준정부호가 되고, 가 음의 준정부호면 는 양의 준정부하고 된다.
•
(실수, 대칭) 행렬이 양의 정부호가 되기 위한 충분조건은 대각 지배 행렬(diagonally dominant) 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즉, 행렬의 모든 행에서 대각 항목의 크기가 그 행의 대각이 아닌 항목들의 합보다 커야 한다.
•
대칭 행렬이 양의 정부호이면, 모든 고윳값이 양이고, 그 역도 성립한다.
•
대각화 속성을 사용하면 이차 형식을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
이 식에서 . 는 항상 음이 아니기 때문에, 이 표현의 부호는 고윳값 에 전적으로 의존한다.
◦
만일 모든 이면 양의 정부호이다.
◦
만일 모든 이면 양의 준정부호이다.
◦
만일 모든 이면 음의 정부호이다.
◦
만일 모든 이면 음의 준정부호이다.
◦
마지막으로 만일 양과 음의 고윳값을 모두 갖고 있다면, 이것은 정부호가 아니다.
좌표변환 행렬(change of coordinate matrix)
•
유한차원 벡터공간 의 두 순서기저 에 대하여 라 하자. 다음이 성립한다.
1.
는 가역행렬이다.
2.
임의의 에 대하여 이다.
•
여기서 정의된 행렬 를 좌표변환 행렬(change of coordinate matrix)이라고 한다.
•
벡터공간 에서 자기 자신으로 가는 선형변환을 의 선형연산자(linear operation)이라 한다.
•
유한차원 벡터공간 와 선형변환 의 두 순서기저 , 의 두 순서기저 를 생각하자. 를 좌표를 좌표로 변환하는 행렬, 를 좌표를 좌표로 변환하는 행렬이라 할 때, 다음이 성립한다.
참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