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Duplicate

수학/ 가우시안 분포 응용

서로 다른 가우시안의 혼합

만일 가우시안 분포를 따르는 2개의 센서가 존재하고, 이 2개의 센서를 조합하여 관측 결과를 얻으려고 한다면, 두 관측 결과를 가중치를 이용하여 선형 결합해서 최종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아래 흐름을 확장하면 2개가 아니라 NN개의 결과에 대한 조합도 가능함을 알 수 있다.
우선 두 센서의 정밀도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그 정밀도를 기준으로 가중 평균을 내는 것이 합리적이다. 정밀도는 분산의 역수이므로, 두 센서의 정밀도는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센서의 분산은 제조사에서 알려준다고 가정하자)
λ1=1σ12,λ2=1σ22\lambda_1 = {1 \over \sigma_1^2}, \lambda_2 = {1 \over \sigma_2^2}
보통 1번의 측정 결과만 이용하지 않고, nn번의 측정 결과를 이용하게 되는데, 두 센서가 각각 다른 측정 횟수를 가질 수 있다고 한다면, 정밀도는 다음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λ1=n1σ12,λ2=n2σ22\lambda_1 = {n_1 \over \sigma_1^2}, \lambda_2 = {n_2 \over \sigma_2^2}
두 센서의 측정 결과는 각 센서의 측정 결과에 대한 평균으로 정의할 수 있다.
μ1=1n1i=1n1yi(1),μ2=1n2i=1n2yi(2)\mu_1 = {1 \over n_1} \sum_{i=1}^{n_1} y_i^{(1)}, \mu_2 = {1 \over n_2} \sum_{i=1}^{n_2} y_i^{(2)}
각 센서의 결과에 각 센서의 정밀도를 가중치로 곱하고, 그것을 각 센서의 정밀도의 합으로 나눠서 전체 측정 결과의 평균을 얻는다. (각 센서 정밀도의 합으로 나누는 것은 가중 평균을 계산할 때, 가중치의 합으로 결과를 나눔으로써 가중치의 합이 1이 되도록 조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μtotal=λ1μ1+λ2μ2λ1+λ2\mu_{\text{total}} = {\lambda_1 \cdot \mu_1 + \lambda_2 \cdot \mu_2 \over \lambda_1 + \lambda_2}
분산은 정밀도의 역수이고, 전체 정밀도는 각 센서의 정밀도의 합으로 정의할 수 있다.
λtotal=λ1+λ2σtotal2=1λtotal=1λ1+λ2\lambda_{\text{total}} = \lambda_1 + \lambda_2 \\ \sigma_{\text{total}}^2 = {1 \over \lambda_{\text{total}}} = {1 \over \lambda_1 + \lambda_2}
전체 평균과 분산을 구했으므로, 전체에 대한 가우시안 분포를 정의할 수 있다.
Ntotal(yμtotal,σtotal2)\mathcal{N}_{\text{total}}(y|\mu_{\text{total}}, \sigma_{\text{total}}^2)

노이즈에 대한 가우시안

만일 어떤 가우시안 분포를 따르는 측정 결과에 노이즈가 끼어 있다면, 그 측정 결과에 대한 분포를 yy로 놓고, 노이즈가 없었을 경우의 분포를 가우시안 잠재 분포 zz로 두면, 두 분포가 노이즈에 의해 선형 관계를 갖는다고 할 수 있고, 이를 바탕으로 측정 결과에 대해 노이즈가 제거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노이즈가 낀 분포 yy와 잠재 분포 zz에 대해 다음과 같은 관계를 정의한다.
여기서 zz는 평균 μ0\mu_0, 분산 Σ0\Sigma_0인 노이즈가 없는 분포를 의미하고,
측정된 결과 yyzz에 노이즈텀 ϵ\epsilon이 낀 것으로 정의한다.
노이즈텀 ϵ\epsilon은 가우시안 분포를 따르며, 평균이 0이고 분산이 Σy\Sigma_y인 것으로 정의한다.
zN(μ0,Σ0)y=z+ϵϵN(0,Σy)z \sim \mathcal{N}(\mu_0, \Sigma_0) \\ y = z + \epsilon \\ \epsilon \sim \mathcal{N}(0, \Sigma_y)
위와 같이 정의하면, yyzz에 대해 노이즈가 추가된 것이므로 다음과 같이 조건부 분포를 정의할 수 있다.
여기서 λ\lambda는 정밀도로 λ=1/σ2\lambda = 1 / \sigma^2
p(yz)=N(yz,λy1)p(y|z) = \mathcal{N}(y|z,\lambda_y^{-1})
이를 이용하여 사전 분포 p(z)p(z)는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여기서 μ0,λ0\mu_0, \lambda_0는 알려진 값이 아니기 때문에 임의로 조정하는 값이다.
p(z)=N(zμ0,λ01)p(z) = \mathcal{N}(z|\mu_0, \lambda_{0}^{-1})
NN번의 측정을 하고, 그 결과 —평균과 분산— 를 바탕으로 노이즈 없는 분포 zz를 계산하기 위해, 측정 결과에 대한 조건부 분포 p(zy1,...,yN,σ2)p(z|y_1,...,y_N, \sigma^2)를 다음처럼 정의할 수 있다.
p(zy)=N(zμN,λN1)p(z|y) = \mathcal{N}(z|\mu_N, \lambda_N^{-1})
이 분포의 분산은 정밀도의 역수로 표현됐는데, 정밀도 λN\lambda_N은 다음과 같이 잠재분포 zz의 정밀도 λ0\lambda_0NN번 측정 결과의 정밀도를 더한 것으로 정의된다.
λN=λ0+Nλy\lambda_N = \lambda_0 + N \lambda_y
위 분포의 평균은 비슷하게 잠재분포 zz의 평균과 측정 결과의 평균에 정밀도를 가중치로 적용하여 합한 후, 전체 정밀도로 나눈 것으로 정의된다.
이는 가중 평균을 계산할 때, 가중치의 합으로 나눔으로써 가중치가 1이 되도록 하는 효과를 갖게 하기 위함이다.
μN=Nλyyˉ+λ0μ0λN=NλyNλy+λ0yˉ+λ0Nλy+λ0μ0\mu_N = {N \lambda_y \bar{y} + \lambda_0 \mu_0 \over \lambda_N} = {N \lambda_y \over N \lambda_y + \lambda_0} \bar{y} + {\lambda_0 \over N \lambda_y + \lambda_0} \mu_0
이 수식에 대해 λ0<λy\lambda_0 < \lambda_y인 경우 μN\mu_N은 관측된 데이터에 가까워지고, λ0>λy\lambda_0 > \lambda_y이면 μN\mu_Nμ0\mu_0에 가까워지게 된다. 고로 λ0,μ0\lambda_0, \mu_0의 값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사용한다.
사후 정밀도가 아닌 사후 분산의 관점에서 결과를 다음과 같이 다시 작성할 수 있다.
여기서 D\mathcal{D}는 관찰된 데이터 포인트 모음을 나타내고,
τ02=1/λ0\tau_0^2 = 1 / \lambda_0는 사전 분산이고, τN2=1/λN\tau_N^2 = 1 / \lambda_N는 사후 분산이다.
이 식에서 σ\sigma가 아니라 τ\tau를 썼는데, 둘다 표준편차의 기호로 사용한다고 함
p(zD,σ2)=N(zμN,τN2)τN2=1Nσ2+1τ02=σ2τ02Nτ02+σ2μN=τN2(μ0τ02+Nyˉσ2)=σ2Nτ02+σ2μ0+Nτ02Nτ02+σ2yˉ\begin{aligned} p(z|\mathcal{D}, \sigma^2) &= \mathcal{N}(z|\mu_N, \tau_N^2) \\ \tau_N^2 &= {1 \over {N\over \sigma^2} + {1 \over \tau_0^2}} = {\sigma^2 \tau_0^2 \over N \tau_0^2 + \sigma^2} \\ \mu_N &= \tau_N^2 \left( {\mu_0 \over \tau_0^2} + {N \bar{y} \over \sigma^2} \right) = {\sigma^2 \over N \tau_0^2 + \sigma^2} \mu_0 + {N \tau_0^2 \over N \tau_0^2 + \sigma^2} \bar{y} \end{aligned}

신호 대 잡음비

Signal-to-Noise Ratio(SNR)로써 신호의 강도에 대한 잡음의 강도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가 있다. SNR은 다음과 같이 정의 된다.
Σ0,μ0\Sigma_0, \mu_0는 모두 사용자가 사전에 설정해야 하는 값이다.
SNRE[Z2]E[ϵ2]=Σ0+μ02Σy\text{SNR} \triangleq {\mathbb{E}[Z^2] \over \mathbb{E}[\epsilon^2]} = {\Sigma_0 + \mu_0^2 \over \Sigma_y}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