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역성(invertible)
•
벡터공간 와 선형변환 을 생각하자. 이고 인 함수 를 의 역함수(inverse)라 한다. 역함수가 존재하는 를 가역(invertible)이라 하며, 이 역함수를 라 표기한다. 가 가역이면 의 역함수는 유일하다.
•
가역인 함수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함수가 가역이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은 단사이고 전사이다.
1.
2.
3.
가 차원이 같은 벡터공간이라 하자. 선형변환 가 가역이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은 이다.
•
벡터공간 와 가역인 선형변환 에 대해 역함수 또한 선형이다.
•
선형변환 가 가역이라 하자. 가 유한차원이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은 가 유한차원인 것이다. 이때 이다.
•
행렬 에 대해 인 행렬 가 존재할 때, 는 가역(invertible)이라 한다.
◦
이때 행렬 는 유일하고, 를 의 역행렬(inverse)이라 하고 라 표기한다.
•
유한차원 벡터공간 와 각각의 순서기저 , 선형변환 에 대해 가 가역이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은 가 가역인 것이다. 특히 이다.
•
순서기저 를 가지는 유한차원 벡터공간 와 선형변환 에 대해 가 가역이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은 가 가역인 것이다. 특히 이 성립한다.
•
행렬 에 대해 가 가역이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은 가 가역인 것이다. 특히 이다.
•
가 의 행렬이라 하자. 인 가역행렬 가 존재하면 는 와 서로 닮음(similar)이다.
◦
이것을 similar matrix라고 한다.
•
가 유한차원 벡터공간 의 선형연산자이고 와 이 의 순서기저일 때, 와 는 서로 닮음이다.
동형사상(isomorphism)
•
어떤 벡터공간은 벡터의 모양이 구체적으로 다르다는 점만 제외하면 서로 매우 닮아 있다. 와 에 각각 집합 와 4 순서쌍 를 대응하면 벡터의 합과 스칼라 곱이 비슷한 방식으로 작동한다. 두 벡터공간은 구조적으로 동형(isomorphic)이다.
•
두 벡터공간 사이에 가역인 선형변환 가 존재하면 는 와 동형(isomorphic)이다. 이때 가역인 선형변환을 에서 로 가는 동형사상(isomorphism)이라 한다.
•
같은 체 위에서 정의된 유한차원 벡터공간 에 대하여 가 와 동형이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은 이다.
•
-벡터공간 에 대해 가 와 동형이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은 이다.
•
차원이 각각 과 인 -벡터공간 를 생각하자. 와 의 순서기저를 각각 라 할 때, 다음과 같이 정의한 함수 는 동형사상이다.
•
차원이 각각 인 유한차원 벡터공간 에 대하여 는 차원이 인 벡터공간이다.
•
체 에서의 차원 벡터공간 의 순서기저를 라 하자. 에 대한 의 표준표현(standard representation)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 함수 이다.
•
임의의 유한차원 벡터공간 와 순서기저 에 대하여 는 동형사상이다.
•
차원 벡터공간 와 선형변환 의 기저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
가 동형사상이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은 가 의 기저인 것이다.
쌍대공간(dual space)
•
벡터공간 에 체 로 가는 선형변환을 선형범함수(linear function)이라 한다. 다음의 내용에서 선형 범함수는 와 같은 표기로 작성한다.
◦
쌍대 공간의 선형 범함수는 벡터 공간의 원소들을 측정하거나 평가하는 역할을 한다. 쌍대 공간은 벡터 공간에 대해서만 정의되지 않고 함수 해석학, 위상 수학 등 수학의 다양한 분야에서도 동일한 개념을 갖는다.
◦
쌍대 공간을 선형 범함수만으로 구성하는 이유는 단순성과 유용성 때문이다.
•
순서기저 를 가지는 유한차원 벡터공간 에 대해 각 마다 다음과 같은 함수를 정의한다.
에 대한 의 좌표벡터가 일 때
•
이때 는 의 선형범함수이며 기저 에 대한 번째 좌표함수(coordinate function)라 한다. 임에 유의하라. 이 선형범함수는 쌍대공간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벡터공간 에 대해 벡터공간 를 의 쌍대공간(dual space)라 하며, 라 표기한다.
◦
와 는 동형이다.
•
는 의 모든 선형범함수로 이루어져 있으며, 벡터의 합과 스칼라 곱은 동일하다. 가 유한차원이면 다음이 성립한다.
•
의 쌍대공간을 의 이중 쌍대공간(double dual) 이라 정의한다. 가 유한차원일 때 와 사이에 자연스러운 동일화(identification)가 존재한다.
•
순서기저 를 가지는 유한차원 벡터공간 와 에 대한 번째 좌표함수 를 생각하자. 이때 는 의 순서기저이다.
◦
임의의 에 대하여 이다.
•
를 만족하는 의 순서기저 를 의 쌍대기저(dual basis)라 한다.
•
와 는 에서의 유한차원 벡터공간이고, 순서기저는 각각 와 이다. 임의의 선형변환 에 대하여 함수 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자.
◦
모든 에 대하여
◦
이 함수는 선형변환이고 가 성립한다.
•
벡터 에 대해 함수 를 (단 )라 정의하면 이 의 선형범함수가 된다. 따라서 이다.
•
유한차원 벡터공간 와 를 생각하자. 임의의 에 대하여 이면 이다.
•
유한차원 벡터공간 에 대하여 함수 를 이라 정의하면, 는 동형사상이다.
•
유한차원 벡터공간 와 쌍대공간 에 대해 의 모든 순서기저는 의 어떤 기저의 쌍대기저이다.
불변(invariant), 제한(restriction)
•
벡터공간 , 선형변환 와 의 부분공간 에 대하여,
◦
모든 에 대하여 일 때 는 -불변(T-invariant)이라고 한다. 즉 가 -불편일 때 이다.
◦
가 -불변일 때, 에서 정의된 의 제한(restriction) 는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참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