랭크(rank)
•
행렬 에 대해 의 랭크(rank)는 선형변환 의 랭크로 정의하고 라 표기한다. —rank는 range의 차원을 뜻한다.
•
행렬이 가역이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은 행렬의 랭크가 인 것이다.
•
모든 행렬 는 적절한 표준 순서기저에 대한 선형변환 의 행렬표현이다. 즉 선형변환 의 랭크는 그 행렬표현 중 하나인 의 랭크와 같다.
•
유한차원 벡터공간사이에서 정의된 선형변환 와 각각의 순서기저 에 대하여 이다.
•
행렬 , 가역행렬 , 가역행렬 에 대해 다음이 성립한다.
1.
2.
3.
•
행렬의 기본행연산과 기본열연산은 랭크를 보존한다.
•
임의의 행렬의 랭크는 선형독립인 열의 최대 개수와 같다. 행렬의 랭크는 그 열에 의해 생성된 부분공간의 차원이다.
◦
이것은 열이 아니라 행으로 바꾸어도 동일하고, 결과적으로 행렬에서 선형독립인 행과 열은 개수가 같다는 논리로 이어진다. 이것은 행렬의 행 공간(row space)과 열 공간(column space)의 차원이 동일하기 때문이다.
◦
행렬 의 랭크를 구할 때 에 적절한 기본행 연산과 기본열 연산을 적용하여 선형독립인 열의 개수를 확실히 구할 수 있도록 만든 뒤 이 정리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
랭크가 인 행렬 가 있을 때, 이 성립하고 기본행 연산과 기본열 연산을 유한번 사용하여 를 다음과 같은 꼴로 바꿀 수 있다.
•
이때 이면 이고 그렇지 않으면 이고 은 영행렬이다.
•
랭크가 인 행렬 에 대해 다음을 만족하는 가역행렬 와 가역행렬 가 존재한다.
•
행렬 에 대해 다음이 성립한다.
1.
2.
임의의 행렬의 랭크는 선형독립인 행의 최대 개수와 같다. 행렬의 랭크는 그 행에 의해 생성된 부분공간의 차원이다.
3.
임의의 행렬의 행과 열은 차원이 같은 부분공간을 생성한다. 차우너은 행렬의 랭크와 같다.
•
모든 가역행렬은 기본행렬의 곱으로 나타난다.
•
유한차원 벡터공간 사이에 정의된 선형변환 와 행렬 곱 를 정의하는 두 행렬 에 대해 다음이 성립한다.
1.
2.
3.
4.
•
행렬의 열벡터 중 서로 독립인 열벡터의 최대 개수를 열랭크(column rank)라 하고, 비슷하게 행벡터 중 독립인 행벡터의 최대 개수를 행랭크(row rank)라고 한다. 행랭크와 열랭크에 대해서는 다음이 성립한다.
•
행 랭크는 행 개수보다 커질 수 없고, 열랭크는 열 개수보다 커질 수 없기 때문에 행 개수가 , 열 개수가 인 행렬의 랭크는 행과 열 중 작은 값보다 커질 수 없다.
•
만일 행렬의 랭크가 행렬의 행 개수나 열 개수 중 작은 값과 같으면 풀랭크(full rank)라고 한다.
◦
풀랭크라는 것은 행렬의 모든 행이 독립이거나 모든 열이 독립임을 뜻한다.
•
정사각행렬 에서 이면 풀랭크고, 반대로 정사각행렬이 풀랭크면 행렬식이 0이 아니다.
•
행렬의 랭크에 대해 다음의 속성이 존재한다.
◦
에 대해
▪
◦
에 대해
▪
◦
에 대해
▪
•
행렬 와 0이 아닌 스칼라 에 대하여 가 성립한다.
열공간(Column space)
•
행렬 에 대하여 의 열벡터들의 선형 결합으로 생성될 수 있는 집합을 열공간(Column space)이라 하고 다음과 같이 정의 된다.
•
의 열공간의 기저는 피봇(pivot) 열이 된다.
행공간(Row space)
•
행렬 에 대하여 의 행벡터들의 선형 결합으로 생성될 수 있는 집합을 행공간(Row space)이라 한다. 행공간은 의 전치의 열공간으로 표현 가능하다.
•
의 행공간의 기저는 행 사다리꼴 행렬에서의 피봇(pivot) 행이 된다.
영공간(Null space)
•
행렬 에 대하여 영 벡터로 대응되는 모든 벡터 들로 이루어진 집합을 영공간(Null space) 또는 커널(kernel)라 하고 다음처럼 정의한다.
•
영공간의 기저는 의 해 집합에서 나온다.
참조
•